Search

현재전시 다채로운 전시 작가 작품! 아트 플랫폼 서울갤러리

 

장희진 개인전 <색(色), 삶을 사유(思惟)하다>

-

  • 작가

    장희진

  • 장소

    토포하우스 제3전시실

  • 주소

    서울 종로구 인사동11길 6

  • 기간

    2022-11-23 ~ 2022-12-12

  • 시간

    9:00 ~ 9:00

  • 연락처

    010-3115-7551

  • 홈페이지

    http://www.topohaus.com

  • 초대일시

  • 관람료

갤러리 가기
기획의도
바실리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 1866~1944)는 젊은 화가의 추도사 <형식의 문제에 관하여> 에서 ‘내면의 세계를 표현한다면 형식은 어떻든 상관없다’고 주장하였다.
동양 미학과도 맥이 닿는 마크 로스코(Mark Rothko, 1903~1970)의 색면은, ‘빛의 우물’(井)을 이루는 고요의 세계를 분할과 굿기의 색면 추상으로 건져내는 장희진으로 이어진다.
디지털 시대, 국내외 유명 미술관이나 갤러리 전시 공간을 자신의 평면 작품과 매칭하는 식의 수천 번의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동시대와 공감한다.
 
전시 서문
3차원의 세계가 2차원인 망막에 투영된 인간의 보편적 시각을 대표하는 작가는 삶에 대한 경험을 이미지로 각인, 색면(色面)으로 펼쳐낸다.
음악이 텍스트와 어떤 관계 없이도 가능한 것처럼, 대상(對像)과의 관계에서 자유로운 추상 회화는 내적 필연성에 따른 선택이다. 장희진의 그 필연성은 물리적 DNA와도 맞물린다. 프랑스 유학파 외할아버지 김기린(1936~2021)은 한국 추상 회화의 선구자적 위치에 있었다.
작가는 아파트 발코니에서 새시 창을 통해 들어오는 햇살의 변화에 따른 색 분할과 라인 긋기는 적합한 색(hue·色調)을 찾는 감각을 일깨웠다. 부조(低浮彫, basso-relievo) 느낌의 평면 바탕에 마치 색종이를 접었다 펼치면 나타나는 선들과 균열을 전면에 드러낸다.
전시는 근작들이 가진 무거운 색감과 힘을 뺀, 상대적으로 평면 캔버스의 구조를 강조한 최근작들을 대비하여 보여준다. 조명의 고도를 낮추어 캔버스 프레임에 초점을 맞추면 요철 캔버스(modeling made canvas)가 만들어 낸 주름(골)이 뚜렷해지며 바랜 색(tint)이 나온다. 그 색은 한복의 하늘하늘한 소재(원단)와 색감 자체에서 모티프를 받아 물감의 질료가 마치 피부에 흡수되는 듯하다.
신작(新作)은 한번 색종이를 접어 학(鶴)과 배를 만들고 이를 다시 펼쳐 ‘아 이게 입체였었구나’라는 흔적, 입체가 품었던 공간의 향기가 배어있다. 장희진 회화는 캔버스에 머무르지 않고, 구조로서의 깊이와 평면으로서의 넓이를 아우르며 색의 이면(裏面), 천착한 삶을 사유한다.

작가소개
서울에서 태어나 선화예중, 예고를 졸업하고 중앙대학교에서 회화를 전공, 동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2002년부터 2022년까지 17회의 개인전과 독일, 스위스, 뉴욕, 싱가폴, 중국, 대만 등 해외 아트페어와 기획전 등을 참가하였고 국내 미술관, 호텔 등에 작품이 다수 소장되어 있다. 서울시립미술관 난지 창작스튜디오 입주작가 1기(2005-6)로 활동하였으며, 최근에는 삼성 더 프레임/비스포크 등에 이미지 컨텐츠 계약을 하는 등 전업 작가로서 꾸준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오직 작가의 손과 시간으로 만들어진 모델링 페이스트로 만든 표면의 요철을 시그니처로 20여년간 활동하고 있는 전업 작가이다.


Folded Tint_131x163cm_Acrylic gouache, gel on modeling made canvas_2022_


작품설명 및 작업방식 소개
장희진표 창작의 핵심은 무엇보다도 작가의 천부적인 색채 감각과, 공예를 하듯 천천히 만들어내는 회화 베이스의 특이점이다. 모델링 페이스트를 수없이 쌓아올리고 매만지는 시간과, 노동의 공력이 작가작업의 베이스에 요철로 드러난다. 조수에게 맡기거나 공방에 일거리로 위탁하는 그런 작업이 아닌, 순전히 작가의 손과 의도와 시간으로 만들어지는, 말 그대로 느림의 결과물이다. 이러한 느린 창작에는 작가의 고집이 깊이 뿌리내리고 있다. 십수 년 전부터 해 왔던 작가의 베이스 만들기에는 자신만의 색조를 입히기 위해 바탕을 갈고 닦는 장인의 뉘앙스마저 느껴진다.
 
장희진 작가는 2001년부터 특유의 화면 베이스 만들기와 반전페인팅의 회화방식을 구사해 왔다. 2002년의 ‘In Between_사이공간’이라는 타이틀로 시작한 작가의 작업은, 십수 년의 시간이 지나면서 직선요철의 베이스 면이 굴곡진 유려한 라인으로 변모하면서, ‘Sound of Wave’ 와 ‘Wind of Tree’등의 시리즈로 이어졌다. “나의 그리기는 나무의 잔가지 사이사이로 비추는 빛의 면적, 즉 사이공간을 그리는 것이다.”라는 작가의 말과 같이, 화면위에 단순히 이미지를 그려넣는 전형적인 회화방법이 아닌, 역으로 허공의 부분에 채색을 가하여 이미지를 드러내는 역 페인팅의 방식은 장희진의 유니크한 작화방식으로 화단에 자리매김 되어있다.
 
“작업과정에 대해 말하자면 먼저, 회화의 베이스를 만들기 위해 캔버스에 특수 제작한 물결모양의 대형 곡선자를 이용하여 9mm간격의 라인을 치고, 라인을 따라 0.4mm의 라인 테잎을 붙인 뒤 그 위에 나이프를 사용하여 모델링 페이스트를 수십 차례 펴 발라 올리기를 반복합니다. 매체의 표면이 적당히 마르면 그 위에 다시 얇게 펴 바르기를 반복하는 지난한 노동의 과정을 48시간 정도 지속합니다. 이 과정을 거쳐 캔버스의 모델링표면층이 0.5mm정도의 두께가 되었을 때 하루를 건조시킨 후, 라인테잎을 조심스럽게 떼어냅니다. 이렇게 하면 라인테잎과 함께 떼어진 부분은 음각이 되고 나머지 부분이 양각이 되는데, 이렇게 내 작품의 특징적 기본 베이스인 요철면의 캔버스가 제작되는 것입니다. 이후 수십 차례의 사포질과 다듬기, 그리고 베이스 칠을 해서 화면베이스를 완성시킵니다. 이렇게 완성된 모델링의 요철 면(modeling made canvas)위에 그림을 그리는 데, 특별한 점은 작품의 이미지가 나무 혹은 숲의 형태를 그려내는 것이 아니라 실재의 사이사이에 존재하는 빈 공간 즉 여백, 혹은 허공을 그린다는 점입니다..”
 
작가는 2001년부터 16년간 직접 수공의 과정을 거쳐 제작하는 모델링의 요철면(modeling made canvas)이라는 특유의 화면 베이스 위에 반전페인팅의 회화방식을 꾸준히 구사해 왔다.
 
장희진 작가는 10회의 국내초대개인전과 50여회의 미술관 및 갤러리의 기획초대전, kiaf와 cige, miami페어 등 국제아트페어에 참여하였으며, 작가의 작품은 다양한 개인 컬렉션과 서울시립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삼성문화재단, 주한독일 대사관, 건국대학교 신축병원, 부산 파라다이스 호텔, 대구 노보텔, 제주도 해비치 리조트 호텔, 프레지던트 호텔 종로, 로얄 팰리스 호텔 SOMERSET, 삼성 트라팰리스 강남, 마포 트라팰리스, 한국 캐논 삼성동, 롯데 스카이힐 김해, 외교통상부, 두바이대사관, 창원 the city 7, 워커힐 송도, 베스트 웨스턴 구로, 제주도립미술관, 서울국회의원관 제2관, 서울동부지방법원, 삼성전자 평택 등에 소장되어 있다.




hue 45.5x45.5cm acrylic gouache, gel on modeling made canvas  2022


장희진
Jang Hee jin (b.1977, Korea)
 

2000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2004 同대학 대학원 서양화 전공 미술학 석사
 
2006 -2007 서울시립미술관 난지 창작스튜디오 1기 입주 작가
2009 삼성 래미안 선정 작가
2011 LEEUM MUSEUM Artshop Artist Scaf _ JANG HEE JIN 제작
2018 서울미술협회 주간 메세나 지원 작가 선정
2019 서울미술협회 모던아트쇼 우수작가상
2019 네이버아트윈도 공모 대상수상
2020 삼성 비스포크 냉장고, 더프레임 TV 이미지 컨텐츠 작가
 
개인전
2022 토포하우스 갤러리 “Folded tint”, 서울
아터테인갤러리, “ OVERTONES’, 서울
2021 갤러리 위(we) “NEVER HUE ENDING”, 용인
2020 갤러리 오스퀘어, "DELIMITATIN", 서울
2019 갤러리 세인, “otherside of colour” , 서울
써포먼트 갤러리, “COLOR DIMENSION”, 서울
2017 갤러리H , “ by degrees, scene_ 점차, 장면 ”, 서울
2016 서화갤러리, “Slow pigment”, 서울
2015 우민갤러리, 우민아트센터 프로젝트 카페 우민, 청주
2011 UM 갤러리, “sound of wave", 서울
2010 갤러리 서화, “Wind of tree" , 서울
2007 도올 갤러리, “흐르는 공간-space of flows" , 서울
2006 세오 갤러리, 3rd 세오 영 아티스트 선정, 서울
2004 예맥 갤러리, 서울
2003 관훈 갤러리 , 경기문화재단 지원, 서울
“사이”, UM gallery 지원공모 , 서울 / 무심갤러리, 청주
2002 “in between", MANIF8!02, 예술의 전당, 서울
 
 

folded tint  90.5 x 122cm acrylic gouache, gel on modeling made canvas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G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