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현재전시 다채로운 전시 작가 작품! 아트 플랫폼 서울갤러리

 

RE-FORMATION -미술치료사, 작가인 최재영의 트라우마 극복을 위한 전시-

Choi, Jaeyoung: RE-FORMATION

  • 작가

    최재영

  • 장소

    아트로직스페이스

  • 주소

    서울 종로구 윤보선길 28 (안국동)

  • 기간

    2022-12-06 ~ 2022-12-18

  • 시간

    9:00 ~ 9:00

  • 연락처

    02-735-7955

  • 홈페이지

    http://www.artlogicspace.com

  • 초대일시

  • 관람료

갤러리 가기
<전시개요>
미술치료사이자 작가인 최재영은 작가 개인이 경험한 가정사적 트라우마를 극복하기 위해 작업해 온 작품들을 가지고 전시를 진행하게 된다. 찢고 꿰매고 잇는 작업을 반복하여 마치 한 인간의 인생 곡선을 보여주는 것 같은 형식을 보여주는 최재영 작가의 작품들에는 큰 충격으로 인해 짙게 드리워진 상처에 대한 이야기가 담겨 있다. 이번 전시의 작업들은 직접 경험한 ‘위선과 배신이 한 인간을 얼마나 황폐화시키고 멸망시키는지’를 보여주며 인간의 이중성과 모순성을 대면하게 하도록 만든다. 최소한의 양심이 부재하게 되었을 때 한 인간을 어떻게 극한 상황으로 몰고 가게 되는지 드러냄으로써 ‘배신과 위선의 인간성 마비의 상태’를 작가는 예술의 형식과 전시의 언어로 고발해야 했다.

최재영 작가는 그의 작업에서 일종의 살풀이와 같은 몸짓으로 응어리짐과 풀어짐을 교차시키는 흔적들을 남겨내면서 제의와 같은 작가적 행위가 이끄는 곳으로 그의 작업을 보는 이들의 시선을 몰입시킨다. 예술은 이렇게 작가에게 필요한 것이기도 하기에 그는 어떤 정신적 치유를 넘어 제의 의식을 치르는 것 같은 행위를 지속하고 있는 것이다. 최재영 작가의 이번 전시는 종로구 아트로직 스페이스에서 12월 18일까지 진행되며 작가와의 만남은 12월10일 토요일 오후 2시에 전시장에서 갖게 된다. 회화, 설치를 포함하여 20여 점을 전시한다.


최재영 약력
 
최재영은 선화예고 졸업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학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원 교육학과 미술교육전공 석사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미술심리치료전공 박사
현재 수원여자대학교 교수 재직
개인전 4회 다수의 그룹전


작가노트
 
“저 이혼 했어요.” 라고 하면 다들 “어쩌니? 앞으로 잘 될 거야!”라며 위로를 한다.
하지만, 난 축하를 받고 싶다.
시궁창 같은 28년간의 결혼을 끝냈다.
폭력, 폭언과 빚만 물려주는 시부모를 두고도 결혼생활을 유지하는 걸 보며 지인들은 “남편을 엄청 사랑하나봐?” 라고 물었다. 그러면 난 “난 남편을 존경해요. 그런 환경에서도 정신과의사가 될 수 있다는 게 쉽지 않잖아요.” 라고 했었다. 그런 남편이 30년 전 애인과 11년 전 부터 내연관계를 유지하면서 나를 조롱하고 비아냥거리는 카톡 내용을 보게 된 그날 독립을 결심하게 되었다.
나를 아는 지인들은 “선생님이 착하게 살아서 신이 주신 기회야..이제 사랑받고 살아” 라며 축하해주었다. 축하받는 결혼은 있어도 축하받는 이혼은 흔치 않을 것이다.
남편의 배신에 대한 분노와 나의 거짓된 결혼생활 기간에 대한 억울함을 마음에 담고 소송을 시작하면서 순간순간의 생각과 감정을 작품으로 남기기로 시작했다.
40호 한지를 마음껏 찢고 다시 재구성해서 핏빛 색실로 다시 이어갔다. 1년 넘는 이혼소송기간 동안 늘 불안하고 잠도 제대로 잘 수도 없어서, 마음은 늘 조급하고 불안했다. 나의 마음은 갈갈이 찢겨졌고 나의 삶은 조롱당했다. 성실하고 선하게 살아야한다는 나의 신조가 무너지는 순간마다 종이를 찢고 잠 못 드는 밤마다 바느질을 했다. 예리한 바늘로 한 땀씩 이어가면서 나름대로 무언가 해소되는 쾌감을 느꼈다. 작가이자 미술치료사로 살면서 진정으로 내가 나 자신을 위한 치유의 작업을 하게 된 것이다.
찢어진 마음의 조각을 다시 이어 붙이고 새로운 형태로 이어가면서 나는 새로운 모습으로 변화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미움과 분노와 슬픔과 억울함과 괴로움을 소재로 만들어진 작품이지만, 나의 새로운 미래를 위한 새로운 형태들이라고 생각한다.
십수년을 남편에게 내연녀가 있다는 사실을 모른 채, 그에게 의지하고 의논하고 산 세월이 너무도 아까워서 나 자신에게 화가 났지만, 이 작품들을 통해 이제 나는 다시 내 인생을 재구성하고자 한다.
 

<전시서문>
 
조형언어로 풀어낸 주체자, 그리고 치유자로서의 발언에 대하여
 
최재영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찢고 꿰매고 잇는 행위를 반복하는 작업을 통해 마치 한 인간의 인생 굴곡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 같은 독특한 작업들을 보여주게 된다. 작가는 삶에 큰 충격이 될 수 있는 사건을 맞닥뜨리게 되면서 깊은 상처를 받게 되었고 이는 자신의 삶의 모습들이 연장된 작업으로 이어지게 되었다고 한다. 조형 언어로 재구성된 작업은 알 수 없는 어떤 유동적인 흐름이 느껴지기도 하지만 이내 마비되어 있는 것 같은 느낌을 주는 작업이 등장하기도 한다. 마치 마음에 응어리 진 것들을 토해내는 것 같은 작업에는 구체적인 의미나 의도가 읽혀지도록 표현된 것은 아니지만 작가의 작업을 향한 시선을 느낄 수 있는 흔적들이 담겨있다.
 
이 흔적들은 인간의 삶에 드러난 내적 에너지가 발현된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이는 사람에 따라 다양한 양태로 나타나게 될 것이다. 그래서 어떤 이들에게는 이를 권력을 유지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기도 하고 어떤 이들에게는 변질된 욕망으로 동인이 되기도 하겠지만 작가는 작업에서 이 흔적들에 대해 거리 두기를 하고 바라보면서 궁극적으로는 이 드러난 현상 너머로 인간의 존재 의미를 묻고자 하는 것 같다. 그러나 이번 전시의 경우에는 특별히 한 인간이 선택할 수 있는 삶의 방향이 이중적이고 모순적일 수 있음을 작가 스스로 경험하게 되었을 때 작업은 철학적 담론의 범주에만 머물러 있을 수 없고 좀 더 레디컬한 방식으로 변모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래서 그가 표현한 작업 방식은 매우 절제된 조형 언어를 사용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작가의 시선은 모순적 현실을 직시하게 된 이후 변화된 양상이 어떠한 것인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최재영 작가의 작업의 시작은 매우 감각적인 요소들을 하나하나 드러내는 방식일 수 있으나 그 정점은 이내 멍들고 부패하여 썩어가는 것 같은 기억의 심층까지 옮겨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일부 작업들에서 보여주던 경쾌한 색과 선들은 어느새 흑화되고 은폐되어 사라져가는 것처럼 보인다. 작가에게는 이제 밝고 선명한 기억들과 상처나고 멍든 기억이 혼재되어 있는 듯하다. 작가는 이처럼 뒤죽박죽이 되어버린 기억으로부터 탈주하기 위해서인지 아니면 고통스러운 현실을 뛰어 넘어서기 위해서인지 조형 작업과 작업 발표의 방식을 인간 존재와 존엄의 문제로 화두를 옮겨가게 된다.
 
그렇기에 작가에게 이번 전시는 단순히 그동안 작업해 온 조형 예술 작업을 발표하는 장으로서만 기능하도록 놓아 둘 수 없었던 것으로 보이며 역사를 타고 올라가 보면 본디 예술가가 상징물을 그려내는 것과 함께 제의를 수행하고 치유하는 일을 수행했던 것처럼 자신의 그림을 전시장에 던져 놓으며 작가 스스로 상처를 치유하고 마음속에 맺힌 응어리를 풀어내는 제의적 행위를 수행하고자 하는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작가는 현대 사회 속에서 동시대를 살아가는 이들, 특별히 여성으로서 사회적 권력에 종속되고 기울어진 문화적 환경에 처해 있는 유사한 상황 속에서 상처 받고 멍든 마음을 부여잡고 있는 이들에게도 이 전시 자체가 주체적 독립선언이자 치유의 메시지가 될 수 있도록 하여 사회적 제의를 수행해내는 치유자로서의 발언을 하고자 하는 것으로 보인다.
 
작가의 작업은 미약해 보일 수 있고 멍든 것처럼 보일 수 있는 것들에 대해 감싸고 덧칠하며 분리된 것들을 꿰매는 일로 점철되어 있다. 인간의 삶에는 아름다운 부분들만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새 한 귀퉁이에서는 곰팡이처럼 멍들고 부패되고 썩어버리는 부분이 나타날 수도 있다. 작가는 자신의 삶을 주저앉힐 것처럼 보일 정도로 알지 못하는 사이 퍼져버린 독버섯과 같은 위험이 전면적으로 다가오게 되었을 때 무너지지 않고 예술 행위를 통해 상징물들을 그려내는 가운데 마음을 꿰매고 멍든 것들을 치유하며 다시 일어서는 일을 의지적으로 해내고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동시대를 살아가는 이들에게 우리 사회 안에 썩어 문드러지는 곳이 있을 수 있다는 것과 그러나 다시 무너진 곳을 세우고 부패한 것을 지워내며 찢어져 버린 것을 꿰매는 일을 해야 하는 것이 인간의 존재 의미임을 선언하고 있다. 작가는 이처럼 온 세계가 자신을 속여 버린 것 같은 상황 속에서도 다시금 치유의 상징과 이미지를 그려내면서 인간의 존재해야 하는 의미를 그 스스로 증명해내고 있다.
 
박서하 (Directer_아트로직 스페이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G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