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현재전시 다채로운 전시 작가 작품! 아트 플랫폼 서울갤러리

 

백남준아트센터국제예술상 수상작가전
《기계비전(Machine Visions)》

Machine Visions

  • 작가

    트레버 페글렌(Trevor Paglen)

  • 장소

    백남준아트센터

  • 주소

    경기 용인시 기흥구 백남준로 10 (상갈동)

  • 기간

    2019-10-16 ~ 2020-02-02

  • 시간

    10:00 ~ 18:00 (휴관일 : 매주 월요일(공휴일 제외), 매년 1월 1일과 설날)

  • 연락처

    031-201-8548

  • 홈페이지

    http://njp.ggcf.kr/

  • 초대일시

    2019-10-16

  • 관람료

    무료관람

갤러리 가기
경기문화재단 백남준아트센터(관장 김성은)20191016일부터 202022일까지 2018 백남준아트센터 국제예술상 수상자인 트레버 페글렌(Trevor Paglen)의 국내 첫 개인전을 개최한다. 예술가이자 지리학 박사이기도 한 트레버 페글렌은 자신의 작업을 디지털 세계의 숨겨진 풍경과 금지된 장소에 대한 지도라고 명하며 비가시적인 국가 권력의 감시체계와 물리적 장치들을 가시적으로 드러낸다.
 
트레버 페글렌은, “탁월한 선구자이자 예술가 백남준은 빠르게 변화하는 세계를 어떻게 보아야 할지 가르쳐주었으며, 개인적으로 그분을 통해 큰 영감을 받았다. 백남준과 연계하여 인정받았다는 사실은 제가 상상할 수 있는 가장 큰 영광중의 하나임이 분명하다.” 라고 수상소감을 밝힌 바 있다. 또한 본 예술상의 심사위원장을 맡은 김홍희는 트레버 페글렌은 사진, 비디오, 조각, 설치 등 다매체를 활용하여 군사와 정보 조직의 비밀스러운 감시 장비를 암시적으로 노출하는 작가이자, 철저한 조사와 연구의 결과물을 추상적 컬러의 형식적 탐구로 시각화하면서 정치와 미학을 결합시키는 자신만의 독특한 스타일을 창조하는 작가라고 평한 바 있다.

국내에서 처음 열리는 트레버 페글렌의 개인전 기계비전은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작업세계를 확장해 온 작가의 예술 세계를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전시이다. 전시의 제목 기계비전은 사람을 위해 이미지를 생성하였던 방식에서 벗어나 기계가 기계를 작동시키기 위해 이미지를 생성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비디오와 사진, 설치 작품 19점으로 이뤄진 이번 전시는 드론과 인공지능이 촬영하고 스스로 재생산한 이미지들, 감시체계인 위성과 이를 미학적으로 구축하려는 우주적 상상력, 보이지 않는 국가 감시체계를 시각화 하는 트레버 페글렌이 작품세계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이 영광스러운 순간들을 바라보라!> 라는 비디오 작업에서 우리는 인공지능이 기존에 인식해왔던 사물, 감각, 인물들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주입하고 조합하여 새로운 형상을 재탄생시킨 이미지들을 보게 된다. 이들의 모습은 때로는 기괴하고 흉측하게 보여서 마치 괴물이나 유령처럼 섬뜩하다. 이렇게 생산된 결과물을 마주하는 순간, 우리는 기술이 우리가 원했던 세상을 만들어 주고 있는지, 우리는 과연 무엇을 보고 있는지 질문을 던진다.
 
페글렌은 그의 <작동하지 않는 위성>을 통해 우리가 상상해왔던 우주에 대한 생각들을 떠올려보기를 원한다. 인공위성 발사를 작가의 순수한 예술 작업으로 실현하는 페글렌은 그의 작업을 이루어내는 과정을 통하여 여전히 우리에게는 신비로운 우주에 대한 관심과 인식을 새롭게 할 수 있도록 질문을 던진다. 그는 이 작업을 불가능한 사물들이라고 묘사한다. 그가 실현한 인공위성은 상업적, 군사적인 기능을 실행하지 않으며 대신에 잠시 인공적인 별이 되어 순수한 기쁨과 신비로움을 만들어낸다.
 
<그들은 달을 바라본다> <89곳의 풍경> 등의 작업에서 작가는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감시와 통신 시스템, 인터넷 연결망의 집결지(프랑크푸르트, 암스테르담, 런던)와 군사기밀 목적으로 설립된 정보국 건물 등을 촬영한다. 작가는 이러한 권력이 기반시설을 바탕으로 가능하게 되었음에 주목하고 내부에 비밀스럽게 존재하는 권력시스템을 직시한다.
 
자신의 작업을 디지털 세계의 숨겨진 풍경과 금지된 장소에 대한 지도라고 말하는 페글렌은 고성능 옵틱스 망원렌즈를 사용하거나, 스쿠버다이빙으로 100피트 깊이의 해저를 직접 탐사하면서 원거리 우주, 심연 풍경 등을 촬영한다. 군사기밀 기지, 감옥 등 숨겨진 장소, 또는 인공지능, 케이블, 스파이 인공위성 등, 디지털 세계의 데이터가 모여 있는 장소들을 포착하면서 보이지 았고 드러나지 않는 지점에 대한 자신의 정치적 지도를 재편집한다.
 
기술 환경 속에서 살고 있는 우리의 위치를 탐구하고 확인하는 트레버 페글렌의 강연이 10162시 백남준아트센터에서 열릴 예정이다.


국제예술상 소개
2009년 제정된 백남준아트센터 국제예술상은 경기도 도지사가 수여하는 상으로, 백남준과 같이 새로운 예술영역의 지평을 열고 끊임없는 실험과 혁신적인 작업을 선보이는 예술가를 발굴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본 상은 그동안 테크놀로지와 예술의 결합,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모색, 관객과의 상호작용, 음악과 퍼포먼스, 시각예술 전반의 다양한 분야를 융합 및 통섭하는 백남준의 정신을 이어 받은 예술가와 이론가에게 수여되었다. 1회에는 4명의 예술가(이승택, 안은미, 씨엘 플로이에, 로버트 애드리안 엑스)가 공동 수상 하였으며, 2회인 2010년에는 철학자이자 사회학자인 브뤼노 라투르가 수상하였다. 2012년에는 아티스트 더그 에이트킨, 2014년에는 하룬 미르자, 2016년에는 블라스트 씨어리가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수상작가 소개

트레버 페글렌 © Trevor Paglen Studio

트레버 페글렌(Trevor Paglen)1974년 미국 출생으로 시카고 아트 인스티튜트에서 미술을 전공하고 버클리대학(UC Berkeley) 에서 지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의 작품은 반 아베 미술관(네덜란드), 프랑크푸르트 쿤스트페라인(독일), 메트로폴리탄 미술관(미국), 샌프란시스코 현대미술관, 테이트 모던(영국), 스미소니언 미술관(미국), 루이지애나 미술관(덴마크), 이스라엘 미술관(예루살렘) 등에서 전시되었고 베를린 비엔날레(2016), 광주 비엔날레(2018), 마니페스타 11(2016) 등에 참여하였다. 페글렌은 지리학, 국가기밀, 사진 및 시각예술을 주제로 한 5권의 책을 쓴 저자이기도 하다. 2014년 전자 프론티어 재단에서 수여하는 파이어니어상, 2016년 독일 보스 포토그래피 재단에서 수여하는 상, 2017년 맥아더 펠로십을 수상했다. 2015년에는 작가가 촬영감독으로 참여한 <시티즌포>가 아카데미 장편 다큐멘터리상을 받았다.

1. 드론 비전, 2010
HD 비디오, 무성, 5 min



저작권: 트레버 페글렌
이미지 제공: 작가, 메트로 픽쳐스, 뉴욕; 아트만 시겔, 샌프란시스코
 
무인 항공기가 미국의 군사전략에 점차 중요성을 가지게 됨에 따라 드론은 트레버 페글렌의 작품세계에 중요한 영감의 원천이 되었다. 작가의 관점에서 보면 무인 항공기는 시야와 거리감을 새롭게 재구성하는 측면이 중요한 요소가 된다. 예술가들은 현재 몇 년 동안 전쟁에서 드론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적극적으로 기록해 왔다. 기술이 더욱 보편화 되고 장치와의 관계가 밀접해짐에 따라 기술 관련 기반시설은 더욱 파악하기가 어려워졌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은 우리가 지배당하는 보이지 않는 감시구조를 스스로 해석해내고 행동하기가 어려워졌음을 보여준다. 이 작품은 드론 오퍼레이터가 보는 시선을 담아서 드론아이-를 제공한다. “비밀, 책임감, 지속적인 전쟁을 위해 점차로 완벽한 기술을 추구하는 환경에 대한 작가의 깊은 관심을 반영하는 것이다.


2. 자율적인 정육면체, 2015
플렉시 유리 큐브와 컴퓨터 부품, 49.85 cm x 49.85 cm x 49.85 cm


저작권: 트레버 페글렌
이미지 제공: 작가, 메트로 픽쳐스, 뉴욕; 아트만 시겔, 샌프란시스코
 
<자율적인 정육면체>는 미술관, 갤러리, 공공장소에 비치되도록 제작된 조각 작품이다. 이 작품은 보여지고” “사용되는, 두 가지 용도를 염두에 둔다. 인터넷이 연결된 컴퓨터들은 이 조각 작품 내부에 위치하여 개방된 와이파이 핫스폿인 자율적인 정육면체를 만든다. 관람객은 익명이 보장되는 토르 네트워크(Tor Network)에 접속하여 인터넷 검색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트레버 페글렌은 미술관의 보이지 않는 감시구조에 대한 비판의 일환으로 이 작품을 소개한다. 미술관을 방문하는 관람객은 자신이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본인의 관람형태나 방식이 폐쇄회로 카메라에 노출되고 있다. 작가는 이러한 미술관의 감시구조가 정반대의 논리로 적용된다면 어떨까 하는 상상력으로 익명과 자율성이 보장되는 네트워크로 전 세계의 미술관 관람객들이 서로의 접속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작품을 소개한다.
*토르 네트워크: 온라인상에서 익명을 보장하고 검열을 피할 수 있게 해주는 자유 소프트웨어. 미국 해군 연구소에서 최초로 시작하였다. 토르의 핵심원칙인 어니언 라우팅(onion routing)1960년대 중순 연구소의 직원들, 수학자, 컴퓨터 과학자가 온라인상의 미국 정보통신을 보호하기 위해 개발하였다.
 
3. 작동하지 않는 위성, 2013
마일라, 강철, 487.68 cm x 487.68 cm
 

전시 전경: 작가, 트레버 페글렌: <보이지 않는 장소>, 샌디에이고 미술관
저작권: 트레버 페글렌, 샌디에이고 미술관
 
항공기 엔지니어와 협력하여 개발된 <작동하지 않는 위성>은 작고 가벼운 조각이다. 이 작품이 지구표면에서 360마일 떨어진 저지대 궤도에 도달하면 이산화탄소 카트리지가 조각을 팽창시켜 밤에 볼 수 있는 하늘 위의 조각이 생긴다. 그 모습은 마치 천천히 움직이며 깜박이는 별처럼 보인다. 이 궤도 반사경은 약 3개월 동안 궤도 안에 머물고 궤도를 벗어나 대기에 진입할 때 불타서 소멸한다. 이것은 영구적인 고정 장치가 아니라 낭만적인 제스처이다. 마치 일종의 대기 예술 같은 이 작품은 군사적, 상업적, 과학적 이익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최초의 인공위성이 되었다.

* 기타 더 많은 작품들은 전시를 방문하여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G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