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현재전시 다채로운 전시 작가 작품! 아트 플랫폼 서울갤러리

 

최병소 개인전 : <意味와 無意味 SENS ET NON-SENS: Works from 1974-2020>

Choi, Byung-so Solo Exhibition :

  • 작가

    최병소

  • 장소

    아라리오갤러리

  • 주소

    서울 종로구 북촌로5길 84 (소격동)

  • 기간

    2020-11-26 ~ 2021-02-27

  • 시간

    11:00 ~ 18:00 (휴관일 : 매주 일, 월요일 )

  • 연락처

    02-541-5701

  • 홈페이지

    http://www.arariogallery.com

  • 초대일시

  • 관람료

    무료관람

갤러리 가기


1F_Installation view of 意味와 無意味 SENS ET NON-SENS


이번 전시 《意味와 無意味 SENS ET NON-SENS: Works from 1974 to 2020》는 최병소 작가의 예술세계의 근간을 이루는 1970년대 초기 작품과 최근의 작품을 병치시킴으로써 1970년대 초반 전위적 한국 실험미술의 태동과 단색화의 경향을 관통하고 있는 최병소만의 독특한 미술사적 위치를 재고하고자 한다. 전시의 제목 《意味와 無意味 SENS ET NON-SENS》는 작가의 작품 <무제>(1998)에 사용된 메를로 퐁티의 저서(1948)에서 가져왔다. 최병소는 예술과 사회 전반에 존재하는 주류 체계를 부정하며 그 체계를 해체하는 것을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두고자 했다. 이와 같은 그의 작업 세계는 이성과 논리 세계의 무의미함을 주장하고 경험과 물리적 경험성의 중시를 주장했던 메를로 퐁티의 세계관과 그 맥이 닿아 있기도 하다.

최병소가 대학에서 미술을 공부하고 활동을 시작했던 1970년대는 5.16 군사 정변과 유신체제에 대한 정치적 좌절감, 그리고 새마을운동으로 인한 경제적 안정과 희망을 동시에 경험했던 시대였다. 젊은 작가들은 일부 개방된 문호를 통해 국제미술의 사회적이고 실험적 미술경향에 대해 접할 수 있었으나 군부독재 하의 상황 속에서 실험적 작업과 전시들은 제재와 억압을 받았다. 국전과 같은 공인된 무대에 설 수 있었던 미술은 추상미술로, 그리고 단색화 사조로 점차 편중되었다. 1970년대 이후 전개되는 모노톤 회화의 집단적이고 조직적인 성격에 비해 현실에 대한 발언을 직간접적으로 시도했던 실험적 미술 활동들은 당시 정권에 대한 항거로 읽혀지며 탄압을 받았고, 이와 같은 경직된 분위기에서 한국의 실험 미술은 그 활동과 위상이 자연스럽게 축소될 수 밖에 없었다. 최병소는 추상미술의 형식성을 일부 계승하기도 하지만 사회적 불평등과 부조리를 직시해야 한다는 예술가들의 실험적인 정신을 실천하며 단색화와 실험 미술 사이의 경계 사이 독자적인 작품 세계를 만들어냈다.

1960년대 후반부터 진행되어온 한국 작가들의 실험적 시도의 원동력에는 형식주의 예술에 대한 저항, 내면으로 침잠하던 추상미술에 대한 반발이 있었다. “순수조형에의 의지의 확인과 실험의 장이자, 20세기 전반부 예술의 지지체였던 팽팽하게 고양된 캔버스의 평면성과 그 조건 위에서 추구되었던 일루져니즘의 미학을 부정한다”라는 언급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최병소의 작업의 기저에는 반예술적 태도가 깔려있다. 그는 신문지, 연필, 볼펜은 물론이고 의자, 잡지 사진, 안개꽃 등 우리가 하찮게 여기는 물건들에게 새로운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매체의 순수성, 형식주의 모더니즘과 같은 미술의 위계를 전복시킨다.

과거 작가의 대구 작업실이 침수되어 1970-80년대에 제작된 작품 대부분이 유실 또는 파손되었는데, 이번 전시에서는 현재 남아있는 1970년대 사진 작품으로는 유일한 두 작품을 소개한다. 내셔널지오그래픽 잡지 사진을 이용해 만들어진 <무제 9750000-1>(1975)과 의자 위에 사물을 놓고 촬영한 사진과 문자를 결합한 <무제 9750000-2>(1975)는 사진의 시각 이미지를 언어로 해석 또는 지시해 놓는 작품이다. 작품 속에서 사진의 이미지는 이를 형용하는 문자와 결합되어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열게 되며, 의미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우연적이고 필연적인 어긋남을 의도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노닐고 있는 두 마리의 새와 그 상황을 설명하는 언어의 결합, 의자에 올려진 사물들과 그 사물을 지시하는 단어들의 결합에서 관람객은 도리어 상황과 현실을 담을 그릇으로 언어가 가진 한계를 경험하게 된다. 1970년대 당시의 작가는 이렇게 시각언어와 문자 언어 간 해석의 차이를 노출시키는 작업을 통해 시각 예술이 언어이자 개념의 영역임을 인지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네 점의 사진 작품은 비디오, 필름, 퍼포먼스, 이벤트 등의 실험적인 작품들을 선보인 1975년 《대구현대미술제》에 처음으로 출품되었는데, 작가는 당시 이 사진 세트와 함께 접의자 여러개를 배치한 설치 작품 <무제 9750000-3>(1975)도 함께 전시하였다. 여러 개의 의자들은 나란히, 또는 개별로 배치되었으며 의자가 놓인 바닥은 흰색 테이프로 표시되었다. 또한, 의자가 없는 자리의 바닥에 테이프만 둘러져 있기도 한 곳도 있었다. 작가에 의하면 이 의자 설치는 학교의 교실, 학급의 모습에서 착안했다고 하는데, 여기에서는 질서에 순응한 집단과 그로부터 이탈한 개인에 대한 작가의 고찰을 읽어볼 수 있다. 그는 빈 의자들을 사용해 화자와 청자의 관계, 존재와 부재의 차이를 연출함으로써 사회의 규율 속 사라진 사람들의 모습과 흔적만 남은 개인의 역할에 대해 되묻고 있다.

최병소의 대표작으로 잘 알려져 있는 신문 지우기 연작 또한 그가 평생을 매진해온 실험적 정신의 실천이다. 재료비가 거의 들지 않은 일상의 사물을 지지체와 화구로 선택해 탄압의 대상이었던 신문을 까맣게 지우며 사회에 대한 저항의 몸짓을 기록해 나갔다. 오늘날 최병소의 신문 지우기 작업은 자신을 지우는 움직임으로 읽어볼 수 있다. 일상의 물건을 작업에 사용해 한국 사회를 살아가던 최병소 개인과 예술가의 열망을 표현하는 방식은 현장 설치 작품 <무제 016000>(2016)에서도 이어진다. 전시장 바닥을 가득 채운 이 설치 작품은 옷장에 걸려있는 세탁소 철제 옷걸이 한 개를 즉흥적으로 구부려 보는 것에서 시작되었다. 세로 7미터, 가로 4미터를 덮은 8천여개의 가벼운 옷걸이들은 구부러져 백색의 선으로, 그리고 단색의 공간으로 먹먹하게 펼쳐진다. 이 옷걸이들은 신문 지우기 연작의 연필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그는 하찮은 물건과 행위 모두 그 시대의 본질을 구성하고 있음을 직시함으로써 예술을 생산해내는 사회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에 이르고 있다. 예술과 반예술, 의미와 무의미 사이의 열린 가능성을 탐색하는 이번 전시를 통해 한 시대를 증언하는 최병소의 실험적 태도를 만나볼 수 있을 것이다.




CHOI Byungso, 0201012 Untitled (left), 0200815 (right), 2020, Newspaper, ballpoint pen, pencil, 57.5 x 73 x 1 cm each



CHOI Byungso, Untitled 975000, 1975, Chair, masking tape, Dimensions variable



CHOI Byungso, Untitled 975000, 1975, Photography, 53 x 38 cm each, 4 pieces



CHOI Byungso, Untitled 016000, 2016, Hangers, Dimensions variable_installation size 730 x 430 cm



CHOI Byungso, Untitled, 1975, Babys breath flowers, flower vase, base, chalk_Dimensions variable



<작가약력>

최병소 (b. 1943)

Selected Solo Exhibitions
2020 意味와 無 意味 SENT ET NON SENS , 아라리오 갤러리 , 서울
2019 아트바젤 홍콩 인사이트 색션 ), 우손갤러리 , 홍콩
2018 우손갤러리 , 대구
2017 아트센터 쿠 , 대전
2016 마리아룬드 갤러리 , 파리 , 프랑스
2016 생떼띠엔느 현대미술관 , 셍때띠엔느 , 프랑스
2016 아라리오 뮤지엄 탑동바이크샵 , 제주
2015 우손갤러리 , 대구
2015 아라리오 갤러리 , 서울
2014 갤러리 DATE, 부산
2013 누오보 갤러리 , 대구
2013 스페이스 홍지 , 서울
2012 대구 미술관 , 대구
2012 갤러리 IBU, 파리
2011 대구문화예술회관 , 대구
2010 아소 갤러리 , 대구
2009 갤러리 604, 부산
2009 한기숙 갤러리 , 대구
2008 가인 갤러리 , 서울
2008 봉산문화회관 , 대구
2006 갤러리 M, 대구
2005 갤러리 IBU, 파리
2003 시공 갤러리 , 대구
2002 스페이스 129, 대구
1997 시공 갤러리 , 대구
1979 무라마츠 갤러리 , 도쿄
1978 시립도서관 화랑 , 서울

Selected Group Exhibitions
2020 “ㄱ" 의 순간 전 , 한가람 미술관 , 서울
2020 위대한 서사 , 대구미술관
2020 메이드 인 대구 II, 대구미술관
2020 박영덕 갤러리 , 서울
2019 갤러리 DATE, 부산
2018 저항과 도전의 이단아들 , 대구미술관
2017 POWER LONG 뮤지엄 , 상하이
2017 2NDAVENUE 갤러리 , 서울
2017 갤러리 데이트 , 부산
2017 종이조형전 , 뮤지엄 산 , 원주
2017 VOICE OF ASIA, 아라리오 갤러리 웨스트 번드 , 상하이
2017 시간의 흔적 , 김창열 미술관 , 제구
2017 닷 갤러리 , 대구
2017 동원갤러리 , 대구
2016 소소갤러리 , 헤이리 , 파주
2016 달은 차고 이지러진다 , 국립현대미술관 , 서울
2016 부산비엔날레 ‘an/other avant garde china japan korea’, 부산
2016 말없는 미술 , 하이트 콜렉션 , 서울
2016 단색화 , 케르게닉 미술관 , 반느 , 프랑스
2015 코리아 투모로우 2015, 성곡미술관 , 서울
2015 사물의 소리를 듣다 , 국립현대미술관 , 서울
2014 사이의 경계 , 아라리오 갤러리 , 천안
2014 비디오 아티스트 1978, 봉산문화 회관 , 대구
2014 회화를 긋다 , 갤러리 세줄 , 서울
2013 해인 갤러리 , 경남
2012 한국의 단색화전 , 국립현대 미술관 , 서울
2011 데페이즈망 벌어지는 도시 , 아르코 미술관 , 서울
2011 氣가 차다 意를 그리다 , 대구미술관 , 대구
2010 보이지 않는 창, 갤러리 yfo, 대구
2009 이명미와 최병소, 갤러리 yfo, 대구
2009 Pulse New York, 허드슨 리버파크 , 뉴욕
2008 겹, 갤러리 소소, 헤이리
2008 그림의 대면, 소마 미술관, 서울
2007 무 로부터, 문화예술회관, 대구
2003~5 KIAF (부스 시공 갤러리), 코엑스, 서울
2002 지우기와 그리기 , 신 갤러리 , 청주
2002 사유과 감성의 시대 , 국립현대미술관
2000 정 신의 풍경 , 갤러리 M, 대구
2000 뒤죽박죽 , 토탈 미술관 , 서울
1999 한 시대의 연금술 엿보기 , 부산시립미술관 , 부산
1998 New York 국제아트페어 , 시공갤러리 , 뉴욕
1997~02 FIAC, 시공갤러리 , 파리
1997 한중일 현대미술전 , 문화예술회관 , 대구
1996 한국 모더니즘의 발전 , 금호미술관 , 서울
1981 Korean Drawing NOW, 브룩클린미술관 , 뉴욕
1980 Impact Art Festival, 교토시립미술관 , 교토
1979 상 파울로 비엔날레 , 상파울로
1978 한국 현대미술 20 년 동향전 , 국립현대미술관 , 서울
1977 한국 현대미술전 , 역사박물관 , 타이페이
1977 한국 : 현대미술의 단면 , 센트럴미술관 , 도쿄
1776~79 에꼴 드 서울 , 국립현대미술관 , 서울
1975~79 서울 현대미술제 , 국립현대미술관 , 서울
1974~78 대구현대미술제 , 계명대학교 , 대구
1974 한국실험작가전 , 대백화랑 , 대구

Selected Collections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부산시립미술관, 부산
대전시립미술관, 대전
대구미술관, 대구
Frankel Foundation, Michigan, USA

Awards
2010년 11회 이인성 미술상 수상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G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