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전시 다채로운 전시 작가 작품! 아트 플랫폼 서울갤러리

 

자연과의 교감, 몸짓에서 붓질로… (서울시립미술관_ 임동식)
  • 작성일2020/08/27 09:54
  • 조회 406

임동식 퍼포먼스 기억·감정 재창작
사진·드로잉 등 300여점 한자리에

‘일어나’ 2019-2020, 캔버스에 유채. 서울시립미술관 제공
 

▲ ‘일어나’ 2019-2020, 캔버스에 유채. 서울시립미술관 제공

1981년 여름 공주 금강 백사장. 한 사내가 무릎 깊이의 강에 들어가 떠내려온 폐목을 일으켜 세운다. 얼핏 단순해 보이는 이 행위는 미술가 임동식이 ‘야투-야외현장미술연구회’ 창립 야외전에서 선보인 퍼포먼스다. 작품 제목은 ‘일어나’. 자연과 현장을 예술적 영감의 원천으로 바라본 임동식이 자연미술가로서 자신만의 어법을 구축하기 시작한 기점으로 꼽힌다.

한국 현대미술사에서 특별한 궤적을 그려 온 임동식의 퍼포먼스 사진, 회화, 드로잉, 기록물 300여점을 한자리에 모은 ‘일어나 올라가 임동식’전이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 본관에서 지난 19일부터 열리고 있다.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미술관 잠정 휴관으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채널에서 온라인 전시로 진행 중이다.
1981년 공주 금강에서의 ‘일어나’ 사진. 서울시립미술관 제공

▲ 1981년 공주 금강에서의 ‘일어나’ 사진. 서울시립미술관 제공

1981년 공주 금강에서의 ‘일어나’ 사진. 서울시립미술관 제공

▲ 1981년 공주 금강에서의 ‘일어나’ 사진. 서울시립미술관 제공

홍익대 회화과를 졸업한 임동식은 1974년 ‘한국미술청년작가회’를 창립해 야외에서 자연물을 활용한 퍼포먼스와 설치예술 작업 등을 하며 자생적인 미술 실현에 대한 열망을 실험했다. 당시 한국 미술계가 “외국 화단을 표절 내지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려 한다”는 게 임동식의 판단이었다. 1980년 홍명섭 등과 ‘금강현대미술제’를 개최하고, 이듬해 ‘야투-야외현장미술연구회’를 결성해 본격적으로 자연미술을 시작했다. 이후 함부르크조형예술대학으로 유학 가 독일에 10년간 머물며 야투 작업을 현지에 지속적으로 소개했다.

귀국 후 공주 원골마을에 터를 잡은 임동식은 농사짓는 행위와 자연예술행위가 다르지 않다는 깨달음 속에 주민들과 함께 기획한 ‘예술과 마을’ 프로젝트로 세간의 주목을 받았다. 친구 우평남과의 만남은 그에게 또 다른 전환점이 됐다. ‘야산에서 버섯 따고, 논두렁에서 미꾸라지를 잡아’ 생계를 이어 가는 우평남은 임동식에게 아름다운 장소를 소개하며 그림을 그릴 것을 권했다. 풍경을 그린 그림에 ‘친구가 권유한 향나무’, ‘친구가 권유한 봄비 나리는 곰나루’ 등의 제목을 붙인 이유다.
‘원골마을 별빛 수선화 밭에서 아기 강아지 찾기’ 2016. 캔버스에 유채. 서울시립미술관 제공

▲ ‘원골마을 별빛 수선화 밭에서 아기 강아지 찾기’ 2016. 캔버스에 유채. 서울시립미술관 제공

야외 퍼포먼스는 그 현장과 순간을 벗어나면 사라지는 일회성 예술이지만 임동식의 퍼포먼스는 여전히 진행형이다. 최근 그는 과거 자신이 했던 퍼포먼스나 동료의 작업을 소환해 회화의 주제로 삼고 있다. 사진 기록을 바탕으로 당시의 기억과 감정을 가감해 재창작한다. 가령 1981년 금강에서의 ‘물과 함께’ 퍼포먼스를 회화로 옮긴 그림 속 강은 햇빛에 반사돼 눈부시게 반짝인다. 전시장에 나란히 걸린 당시 퍼포먼스 기록 사진에선 볼 수 없는 풍경이다. 그가 평생 추구해 온 자연과의 교감은 그렇게 몸짓에서 붓질로 이어지고 있다. 11월 22일까지.

이순녀 선임기자 coral@seoul.co.kr
G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