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미술계소식 다채로운 전시 작가 작품! 아트 플랫폼 서울갤러리

 

[강희정의 아시아의 美] 백골로 나타난 망령된 망령/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 작성일2021/07/20 14:02
  • 조회 351
강희정 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 강희정 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에도시대 일본 정부는 정치적인 현실을 그림에 빗대어 표현한다는 이유로 다른 미술 매체보다 우키요에(浮世繪)라는 판화에 민감하게 반응한 편이었다. 채색 판화는 아무래도 대중의 이목을 끌기 쉬웠기 때문이다. 게다가 상류층을 위한 고급 미술과 달리 여러 장 찍어 내는 목판화인 우키요에는 오늘날 대중잡지와 비슷하게 유통되기도 하고, 극장가 담벼락에 붙여져 대중들 눈에 쉽게 띄었다. 말하자면 영화 포스터 역할을 하기도 했던 셈이다. 그래서 1842년 에도 막부는 풍속을 해치는 가부키 배우와 게이샤를 그린 우키요에를 금지하고 도덕적인 내용의 판화를 그리게 했다.

우타가와 구니요시(1798~1861)는 극장, 유곽에서 역사와 영웅으로 우키요에의 주요 소재가 변하는 시기에 활동했던 인물이다. 그는 역사나 신화를 주로 택하고, 때로는 이 두 가지를 혼용해 역사인지 신화인지 불분명한 주제를 그리기도 했다. 우타가와는 공주 다키야샤 히메가 오야노 미쓰구니를 겁주기 위해 백골 유령을 소환하는 장면을 세 폭의 우키요에로 그렸다. 우키요에는 다색 목판화다. 목판화는 주로 삽화나 불교경전용 단색 판화가 쓰였는데 에도시대 일본에서 다색으로 급격한 발전을 보였다. 한 장의 채색 판화를 만들기 위해서는 여러 점의 목판이 사용된다. 즉 채색 우키요에는 원래 들어간 색의 수만큼 목판을 만들어 겹쳐 찍은 것이다. 처음에는 단색 판화를 찍어 그 위에 채색을 했으나 상품경제의 발달에 따라 다색 판화가 빠르게 개발 및 보급됐다.
우타가와 구니요시, ‘마녀와 백골귀신’, 1845년경, 34.9X70.5㎝, 빅토리아 앤드 앨버트 미술관 ▲ 우타가와 구니요시, ‘마녀와 백골귀신’, 1845년경, 34.9X70.5㎝, 빅토리아 앤드 앨버트 미술관
10세기 지방 영주였던 다이라노 마사카도의 딸 다키야샤는 역사상 실존 인물이다. 다이라노는 당시 교토 헤이안궁에 있던 천황에 맞서 시모사에 동궁을 세우려 획책하고 있었다. 그가 꾀한 반란은 939년에 진압됐고, 반란에 실패한 다이라노는 참수됐다. 딸 다키야샤는 이미 폐허가 된 다이라노의 영지에 계속 살고 있었는데, 천황이 남은 반란의 생존자들을 잡으라고 오야노를 보냈다. 이 우키요에는 실제 사건에 기반을 둔 작품이다. 그러므로 우타가와의 우키요에는 역사적인 사실과 이를 신화화한 에피소드를 결합해 상상력을 발휘해 만든 판화다.

그림 왼쪽에서 공주는 두루마리에 적힌 주문을 읊으며 거대한 해골을 소환하고 있다. 입으로는 주문을 외우며 얼굴과 몸을 약간 오른쪽으로 기울여 오냐노 일파를 살피고 있다. 소환돼 그녀의 마음처럼 텅 빈 진공에서 튀어나온 듯한 백골은 손가락으로 너덜너덜한 궁궐 장막을 거칠게 헤집고 들어가 오야노와 그의 동료를 위협한다. 실험실이나 박물관에서 해골 모형을 보아 온 현재 우리 눈으로 보면 백골은 음영 처리를 했지만 그다지 사실적이지 않고, 우스꽝스럽기까지 하다. 검은 공간에서 불쑥 솟아난 거대한 해골과 몇 자루의 장도를 든 무사들의 왜소함은 사뭇 대조적이다. 무심한 백골과 그에 대항하는 무사의 표정도 대비가 된다. 그들의 몸짓은 마치 연극 무대의 한 장면을 보는 듯하다.

 
 
사무라이를 우습게 그린 화가 우타가와는 쇼군을 우화적으로 그렸다고 해서 여러 번 구속된 전력이 있다. 굳이 시비를 가리자면 천황에게 반기를 든 다이라노는 이미 패배자이고, 그의 딸이 불러낸 백골은 한낱 망령된 망령에 불과하다. 망령을 불러낸 것은 생존을 위한 약자의 몸부림이다. 망령된 발언 역시 자존심이 상처를 입었다고 백골을 부르는 것과 다름없다. 날도 더운데 굳이 설화(舌禍)를 더하지 말자.
G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