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미술계소식 다채로운 전시 작가 작품! 아트 플랫폼 서울갤러리

 

[강희정의 아시아의 美] 연록이 대신한 당신의 봄, 페라나칸 자기
  • 작성일2021/04/27 09:32
  • 조회 431
강희정 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 강희정 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4월 산과 들은 연록으로 물든다. 개나리, 진달래에서 벚꽃, 목련으로 이어지는 꽃의 향연이 겨우내 움츠러들었던 우리네 마음을 달래 주지만 그도 잠시, 흐드러지던 꽃들이 질 무렵 연록의 어린 잎들이 기지개를 켠다. 화사한 꽃송이에 멀었던 눈이 신록의 푸르름으로 차분해지는 때다. 그렇게 우리는 봄을 보낼 준비를 한다. 마른 나뭇가지에서 막 돋아난 어린잎처럼 화사한 연두색 찻주전자가 우리 눈길을 끈다.

딱딱한 원기둥 모양의 연두색 찻주전자는 중국 광서 연간(1875~1908)에 제작된 도자기다. 얼핏 보면 촌스러운 듯하다. 밝고 화사한 색들이 앞다퉈 자기를 드러내며 뽐내기 때문이다. 연두색, 분홍색, 노란색, 초록색 등 명도 높은 색들이 저마다 목소리를 낸다. 높은 소프라노의 음성을 듣는 듯하다. 어디에 내놔도 눈에 띄는 이런 도자기를 ‘페라나칸 자기’, 혹은 ‘뇨냐 자기’라고 부른다.
봉황문 찻주전자, 페라나칸 자기, 19세기말, 높이 27.4㎝, 싱가포르 아시아문명박물관  ▲ 봉황문 찻주전자, 페라나칸 자기, 19세기말, 높이 27.4㎝, 싱가포르 아시아문명박물관
페라나칸은 동남아에서 출생한 이주민의 후예들을 말한다. 외부인이 동남아에 이주해 낳은 후손들을 통칭하므로 부모의 출신지에 따라 인도계 페라나칸, 아랍계 페라나칸, 일본계 페라나칸이 모두 있지만 가장 인구가 많았던 것은 중국계 페라나칸이다. 중국인들의 동남아 이주 역사가 오래됐음을 입증하는 셈이다. 그러므로 페라나칸 자기로 불리는 까닭은 중국계 페라나칸이 본토에 주문해 가져온 도자기들이기 때문이다. 중국계 페라나칸을 말레이시아에서는 ‘바바뇨냐’라고도 부른다. 바바는 남성이고 노냐는 여성이다. 그러니 주로 여성들이 쓰는 물건이라고 해서 뇨냐자기란 이름도 얻게 된 것이다.

중국계 페라나칸 중에는 중국과 동남아를 오가며 사업을 해서 돈을 번 사람이 많았다. 남편이 사업차 중국에 가면 부인이 취향대로 도자기를 주문해 사 오도록 했는데 동남아에서 엄청난 인기를 끌었던 게 바로 알록달록 페라나칸 자기다. 우선 색깔부터 어둡고 탁한 그릇은 절대 쓰지 않았다. 그렇게 오랜 세월 인기를 끌었던 청화백자도 페라나칸 자기 앞에서는 맥을 추지 못했다. 쨍하고 선명한, 그러면서도 매우 여성적인 색으로 그림을 그린 페라나칸 자기는 당대 동남아에서 부의 상징이었으니 너나 할 것 없이 사 왔다. 유럽에서 인기 있었던 중국 자기는 보통 청화백자였고, 때로 붉은색으로 그림을 그린 자기도 있었지만, 정원에 핀 꽃처럼 화사하고 발랄한 색으로 동남아 뇨냐의 마음을 빼앗은 것은 바로 이 페라나칸 자기였다.

 
그릇의 디자인은 중국식과 유럽식이 뒤섞인 형태였지만 바뀌지 않은 것은 중국적인 상징과 문양이다. 중국계 이주민의 후예이니 중국의 상서에 익숙하기도 했지만 중국의 화공들이 무늬를 그렸기 때문에 자신들의 화법으로 고유한 상징을 담았기 때문이다. 한가운데 봉황과 학, 원앙이 연못에서 노닐고, 어울리지 않게 연꽃과 모란도 있다. 그 위로 복을 상징하는 박쥐가 날개를 펴고 거꾸로 매달려 있다. 중국인들은 복이 자기 집에 쏟아져 들어오라는 의미로 ‘복’(福) 자를 대문에 거꾸로 붙이는데, 여기 박쥐가 거꾸로 매달린 것도 이와 같은 의미다. 연두색 그릇 바탕에는 장수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아 작은 나비들을 그렸다. 이 그림들은 복과 장수, 부부의 금실을 상징한다.

오랜 뱃길을 감내하며 중국에서 자기 부인에게 사다 준 명징한 연두색 찻주전자처럼 봄날은 가도, 꽃은 져도 연록의 잎이 다시 우리를 위로할 것이다. 연록은 부활이요, 재생이니.
G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