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미술계소식 다채로운 전시 작가 작품! 아트 플랫폼 서울갤러리

 

[강희정의 아시아의 美] 대지에서 흘러넘치는 선의와 정의
  • 작성일2019/12/31 10:16
  • 조회 527
지모신, 19세기, 미얀마, 높이 78.5㎝ 바간 고고학박물관 소장
▲ 지모신, 19세기, 미얀마, 높이 78.5㎝
바간 고고학박물관 소장


대지의 여신, 즉 지모신(地母神) 바수다라는 다소곳하게 앉아서 두 손으로 긴 머리카락을 잡고 있다. 땅속에 있던 바수다라를 불러낸 것은 석가모니였다. 석가모니가 막 깨달음을 얻으려 할 때, 마왕 마라가 이를 막으려 했다. 감언이설로 꾀고, 자신의 군대를 보내 위협을 하고, 아리따운 딸들을 보내 교태를 부리며 유혹하게 했다. 마라가 갖은 방법으로 어깃장을 놓자 마침내 석가모니는 오른손으로 땅을 짚어 지신을 부른다. 마귀를 쫓는 항마의 순간이다.
강희정 서강대 동아연구소장
▲ 강희정 서강대 동아연구소장


석가모니는 지신을 불러 과거 무수한 시간 동안 윤회를 하며 자신이 쌓은 공덕과 보시로 말미암아 이제 깨달은 자가 되리라는 것을 증명하라고 했다. 그러자 갑자기 땅에서 지신이 솟아나, 자기가 바로 석가모니가 과거생에 베푼 한없는 보시의 증인이라고 말한다. 이때까지 기세등등했던 마라의 군대는 어이없이 쓰러지고, 아름답기만 했던 마라의 딸들은 쭈글쭈글한 노파가 돼 버렸다. 말 그대로 찰나였다.

그런데 인도 범어나 한문으로 된 경전에 나오는 이 이야기에는 지신이 어떤 형상이라는 말이 없다. 그가 어떻게 석가모니의 선업과 공덕을 증명했는지, 그냥 자기가 증인이라고 말을 한 것만으로 악마의 군대가 패퇴했는지 명확하지 않다. 그래서일까. 인도의 항마 장면에서 지신은 그저 물병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나온다.

위로 높이 묶은 긴 머리에서 물을 짜내는 지신의 형상은 동남아시아에서 창안됐다. 특히 오래도록 상좌부불교가 발달한 미얀마, 태국, 캄보디아에서 나타나며 인도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인도에서 부데비, 미얀마에서 바수다라, 태국에서는 흔히 프라 토라니라고 불리는 이 지신은 석가모니의 부름을 받아 머리에서 물을 짜내어 그의 선업과 공덕이 얼마나 크고 깊은가를 증명한다. 긴 머리를 꼭 잡아 물을 짜내는 형상의 지신은 이미 11세기 캄보디아 앙코르에서 만들어진 예가 보이며, 태국과 미얀마에서는 현대까지 이어진다. 

16세기에 쓰인 태국의 불교문헌 ‘파타마삼보디’(Pathamasambodhi)에는 지신이 “성인이시여! 저는 당신이 쌓은 신성한 공덕이 얼마나 위대한지 압니다. 제 머리는 당신이 보시한 모든 것들로 이뤄진 성수(聖水)에 젖어 있습니다. 이제 머리카락에서 물을 짜내겠습니다” 하고 물을 짜자 머리에서 갠지스강 같은 물이 흘러나왔다는 내용이 있다. 동남아에서는 일찍이 이런 전승을 따라 머리에서 물을 짜내는 지신이 만들어졌다. 물은 석가모니가 성도(成道)할 수 있을 만큼 오랜 세월 쌓아 온 공덕의 증거였다. 대지 깊이 스며든 공덕이라니, 강을 따라 문명을 일군 동남아답다. 대지를 중시한 인도와 물을 긴요하게 여긴 동남아의 결합이라고나 할까.

19세기에 제작된 이 지모신은 미얀마 바간의 아난다 사원에 모셔졌던 조각이다. 여신은 무릎을 꿇고 앉아 땅에 끌리도록 긴 머리에서 물을 짜내고 있다. 성도의 증인이라는 임무는 막중하지만, 여신의 표정은 평화롭고 소박하다. 조각은 군더더기 없이 단출하되 전하는 메시지는 넓고 깊다. 대지는 정의의 원천이요, 정의는 선의다. 지신의 공덕이 새해 온누리에 가득하기를, 땅과 강에 선의가 넘치기를. 1월 12일까지 부산박물관에서 대지의 여신을 만날 수 있다.

[출처: 서울신문에서 제공하는 기사입니다.]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91231030002
G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