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미술계소식 다채로운 전시 작가 작품! 아트 플랫폼 서울갤러리

 

[강희정의 아시아의 美] 오락가락하는 건 박쥐가 아니라 인간의 마음
  • 작성일2020/02/11 10:19
  • 조회 690
이진 수자문주머니, 1922,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 이진 수자문주머니, 1922,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우한에서 발병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근원이 박쥐라고 한다. 새가 아닌데 날아다니는 포유류 박쥐를 두고 인간은 종종 두 세계를 살면서 어디서도 환영받지 못하는 존재로 조롱해 왔다. 가뜩이나 간에 붙었다 쓸개에 붙었다 하며 자신의 이득을 추구하는 사람을 박쥐에 비유하던 차에 박쥐를 향한 인간의 시선은 더 차가워졌다. 그런데 박쥐가 우리 전통에서 늘 지금처럼 푸대접을 받은 것은 아니다.

쥐같이 생겼고, 날아다닌다 해서 ‘규합총서’(閨閤叢書)에서는 ‘나는 쥐’라는 뜻으로 비서(飛鼠)라 부르기도 했지만, 중국에서는 박쥐를 예부터 편복(??)이라 했다. 편복의 복(?)이 복(福)과 발음이 같아 한자문화권에서 박쥐는 복을 기원하는 문양으로 쓰였다. 박쥐의 특징을 단순화해 다양한 미술에 표현한 것이다.

물론 박쥐가 ‘복을 불러 온다’는 생각이 한국 고례의 전통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17세기 이전 한국 미술에서 박쥐문양은 거의 찾아보기 힘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박쥐문양은 조선 후기 미술 곳곳에 등장한다. 도자기, 자수, 공예품은 물론이고 때로 그림에도 나타난다. 각종 금속공예품, 반닫이 등의 가구에서 박쥐문양은 행복을 바라는 소박한 염원을 드러낸다.
강희정 서강대 동아연구소장
▲ 강희정 서강대 동아연구소장


특히 다양한 가정용품의 박쥐문양에는 번식력이 강한 박쥐를 닮아 많은 자손을 보기 바라는 마음도 깃들었다. 만복이 깃들고 자손이 번성하기를 기원하며 시각화한 박쥐문양에 혹여 오해라도 있을까 봐 문양 주위에 ‘수복강녕’(壽福康寧), ‘부귀다남’(富貴多南) 등의 문구를 넣는 수고를 아끼지 않았다. 각종 백자나 목가구에 표현된 박쥐는 복을 바라는 마음에 신분의 귀천이 없음을 말해 준다.

국립고궁박물관 소장의 이 주머니는 이미 일본에서 혼례를 올리고 아들을 얻은 영친왕이 1922년 조선에서 다시 혼례를 올리러 귀국했을 때, 순종과 순정효황후가 영친왕의 아기 진왕자(晋王子)에게 하사한 것이다. 부귀장수를 기원하는 뜻에서 붉은 주머니 윗부분에는 목숨 ‘수’(壽)자를, 그 아래에 금실로 테두리를 두른 연보랏빛 박쥐를 자수로 표현했다. 박쥐 아래 구멍을 뚫어 매듭을 달았고 그 아래로 불로초가 꽂힌 화병을 호사스럽게 수놓았다. 주머니에 두 개의 딸기봉술과 은방울 2개를 연결했는데 은방울에는 깔끔한 정자체로 ‘수복강녕’을 새겼다. 하지만 왕실의 바람과 달리 얼마 지나지 않아 진왕자는 세상을 뜨고 말았다. 박쥐도, 주머니 아래 수놓인 바위와 파도의 문양도 헛된 기원이 돼 버렸다.
영친왕비 비취박쥐뒤꽂이, 20세기,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 영친왕비 비취박쥐뒤꽂이, 20세기,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조선 말기 유물에서 박쥐문양은 널리 확인된다. 영친왕비의 박쥐뒤꽂이는 비취로 만든 머리장식이다. 자그마한 꽂이에 극도로 단순화한 푸른색 박쥐와 금색 매화가 멋들어지게 어우러져 현대적 감각을 보여 준다. 평생 남의 인생을 사는 것 같았을 영친왕의 역사를 아는 우리에게 박쥐뒤꽂이의 세련미는 외려 쓸쓸함으로 다가오기도 한다. 

박쥐문양에 기원을 담을 수는 있으나 박쥐가 복을 가져오는 것도, 심지어 화(禍)를 부르고 병을 도지게 하는 것도 아니다. 길흉화복(吉凶禍福)은 인간의 일일 뿐이니 인류세(人類世)를 살면서 박쥐를 탓하는 건 덧없기 그지없다.
 


[출처: 서울신문에서 제공하는 기사입니다.]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00211030002
G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