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현재전시 다채로운 전시 작가 작품! 아트 플랫폼 서울갤러리

 

2021 서울사진축제
《한국여성사진사Ⅰ: 1980년대 여성사진운동》

Women Photo Festival

  • 관람료

    무료관람

갤러리 가기
서울시립미술관(관장 백지숙)은 2021 서울사진축제《한국여성사진사Ⅰ: 1980년대 여성사진운동》을 6월 29일(화)부터 8월 22일(일)까지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전시실 2에서 개최한다. 
 
올해로 열두 번째를 맞는 이번 서울사진축제는 서울의 대표적인 사진 전시 프로그램으로 서울시민의 사진 문화 향유와 활성화를 위해 전시 및 공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각예술 문화 발전에 이바지해 왔다. 또한 서울사진축제를 통하여 2023년 개관 예정인 서울시립미술관의 분관, ‘서울시립 사진미술관(가칭)’을 위한 예술성 기반의 전문성을 확보하고 지속적인 사진 분과 연구 시행 및 관련 자료 축적을 시행하고 있다.
 
2021 서울사진축제는 한국사진사를 정리하는 연속 기획전의 일환으로 2019년《명동싸롱과 1950년대 카메라당》과 2020년《카메라당 전성시대: 작가의 탄생과 공모전 연대기》에 이어 ‘여성’을 주제로 한《한국여성사진사Ⅰ: 1980년대 여성사진운동》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를 통해 190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의 여성사진사를 정리하면서 한국사진의 분기점이 되었던 1980년대를 중심으로 여성사진운동을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여성사진사Ⅰ: 1980년대 여성사진운동》은 크게 두 파트로 나뉜다. 첫 번째 파트는 ‘여성사진사 연대기: 1900년대 ~ 1980년대’로 꾸며진다. 실물 자료로 참여하는 작가는 모두 36명이며 이들을 ‘아카이브 작가’로 지칭했다. 이들 외에도 신문 및 잡지 기사를 통해 새로 발굴한 여성 사진가들도 만날 수 있다.
 
두 번째 파트에서는 ‘1980년대 여성사진운동’을 다룬다. 1980년대는 전시, 공간, 출판, 교육 및 이론 등 사진제도의 제 분야에서 다양한 여성 사진가들의 실천들이 일어났던 시대이다. 이 파트에서는 각 분야에서의 실천들이 쌓여 형성된 거대한 변화의 흐름을 하나의 ‘운동’ 차원에서 조명해보고자 한다. 특히 그 현장에서 활발하게 활동한 10명의 여성 사진가들의 작품을 한 자리에 모았다.
 
전시 기간 중에는 참여 작가의 인터뷰와 전시 전경 등을 담은 온라인 전시투어 영상을 서울시립미술관 공식 SNS 채널에서 만나볼 수 있다.
○ 인스타그램 : instagram.com/seoulmuseumofart
    유 튜 브 : youtube.com/seoulmuseumofart
    페 이 스 북 : facebook.com/seoulmuseumofart
    네이버 TV : tv.naver.com/sema


<전시 소개>

《한국여성사진사Ⅰ: 1980년대 여성사진운동》은 크게 두 개의 섹션으로 나뉜다. 첫 번째 섹션은 ‘여성사진사 연대기 : 1900년대 ~ 1980년대’로 꾸며진다. 특히 1950년대부터 1980년대 사이에 활동했지만, 이번 전시에 참가하지 못한 여성 사진가들의 존재를 알리고자 개별 작가들의 인쇄 자료들을 모아 실물 전시했다. 실물 자료로 참여하는 작가는 모두 36명이며, 이들을 ‘아카이브 작가’로 지칭했다. 이들 외에도 신문 및 잡지 기사를 통해 새로 발굴한 여성사진가들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 섹션은 ‘1980년대 여성사진운동’을 다룬다. 1980년대는 전시, 공간, 출판, 교육 및 이론 등 사진제도의 제 분야에서 다양한 여성 사진가들의 실천들이 일어났던 시대이다. 1980년대 전체를 조망해볼 때 각 분야에서의 실천들이 쌓여 거대한 변화의 흐름이 형성되었는데, 이를 하나의 ‘운동’ 차원에서 조명해보고자 했다. 특히 이러한 운동의 현장에서 활발하게 활동한 10명의 여성사진가들의 작품을 한자리에 모았다. 이들은 작가로서 뿐만 아니라 교육자이자 이론가이자 자유기고가 그리고 갤러리스트 등으로서 활약했으며, 1990년대와 그 이후를 견인했다.
이번 전시를 통해 그동안 한국사진사의 공백으로 남아 있던 여성사진의 역사를 정립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새로 발굴된 여성사진가들의 존재를 확인하는 자리가 되기를 바란다. 또한 이번 전시가 여성사진가에 대한 조사, 연구, 전시의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한국여성사진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아카이브 구축의 계기를 바란다.

참여 작가 (작품) 10명
김동희, 김민숙, 김테레사, 류기성, 박영숙, 송영숙, 이은주, 임향자, 정영자, 홍미선
 
아카이브 작가 (자료) 36명 이상
김광자, 김미자, 김선옥, 김애자, 김영신, 김영임, 김용순, 김정애, 김정희, 노희완, 문예, 민경자, 서신자, 손영자, 신혜경, 안양자, 오순자, 유경아, 윤주심, 이정애, 이정진, 이진섭, 이혜숙, 이홍경, 장양환, 정인숙, 최방환, 하종희, 한명자, 한옥란, 한정선, 향원당, 홍훈자, 김진애, 박정희, 허현주 등
 

<참여작가 및 주요 작품 소개>

김동희 (1949년생)
김동희는 서라벌예술대학교(현 중앙대학교)에서 사진을 전공했다. 사진과 내 사진동아리인 둘레회의 창립회원으로 활동했으며, 《제1회 대학미전》(1970) 사진 부문에서 <십대의 소리>로 금상을 수상했다. 주부생활사에서 오랜 기간 사진기자로 활동했고, 계몽사에서는 사진부 차장을 역임했다. 1983년에는 첫 개인전 《굿판》(출판문화회관)의 개최와 함께 사진집 『굿판』(도서출판 시각)을 출판했다. 이 책은 2020년 『기원』(도서출판 눈빛)이라는 책으로 복간되었다.


김동희, 나라굿 신딸 채희아. 서울 평창동 보현산신각, 1981/2021, 디지털잉크젯프린트, 39.7x59.4cm, 작가 소장(데이터 도서출판 눈빛 제공)


김민숙 (1947년생)
김민숙은 이화여자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중앙일보 문화부 기자로 활동했다. 미국에서 한국일보 시카고 지사 기자로 근무하며 시카고 아트 인스티튜트(SAIC) 사진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1980년 첫 개인전을 시작으로, 1987년까지 모두 네 차례의 개인전을 가졌다. 사진 전문 화랑인 포토갤러리 여백을 개관했으며, 아마추어와 전문가 모두를 대상으로 한 현대사진아카데미를 운영했다.

 

김민숙, Portrait of Future Man, 1983/2021, 디지털잉크젯프린트, 100x70.8cm, 작가 소장 (좌)
김민숙, Portrait of Future Woman, 1983/2021, 디지털잉크젯프린트, 100x70.8cm, 작가 소장 (우)
 

김테레사 (1943년생)
김테레사는 숙명여자대학교에서 교육학 학사와 석사학위를 취득했고, 이후 미국 뉴욕 프랫 인스티튜트에서 석사를 졸업했다. 숙명여자대학교 사진 동아리 숙미회와 한국창작사진협회의 회원으로서 활동했으며, 《제6회 동아사진콘테스트》(1968)와 《제7회 동아사진콘테스트》(1969)에서 연이어 최고상인 특선에 입상한 유일한 여성 사진가였다. 1970년 국립공보관에서 첫 개인전 《비원》을 시작으로 다수의 개인전을 가졌다.

 

김테레사, 《워싱턴 스퀘어》 연작, 1973-2010, 디지털 잉크젯 프린트, 29.3x45.2cm, 작가 소장


류기성 (1946년생)
류기성은 서울여자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한 뒤, 홍익대학교에서 사진디자인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대학시절 사진동아리 ‘서울여자대학교 사진반’의 창립회원으로 사진을 시작했으며, 학보사 사진기자로도 활동했다. 그는 서울신문사에서 수습 사진기자로 입사한 후 1년 뒤 주간지『선데이서울』로 옮겨 만 9년간 근무했다. 이후 중앙일보사로 이직하여 출판사진부 기자로 활약하며 사진부장을 역임했다. 첫 개인전은 《패션사진 개인전》(경인미술관, 1990)으로, 같은 해 첫 사진집 『류기성』(도서출판 삼신각, 1990)을 출판했다.

 

류기성, 무제, 1983, 젤라틴 실버 프린트, 24x35cm, 작가 소장


박영숙 (1941년생)
박영숙은 숙명여자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사진디자인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대학교 재학 중에 사진동아리 숙미회를 창립해 이끌었으며, 썬아트, 현대사진연구회, 청록회, 한국창작사진협회 등의 사진단체에서 회원으로 활동하였다. 또한 대중잡지  『여상』(여상사)의 사진기자로 약 1년간 근무하며 다방면에서 활약했다. 그는 《박영숙 사진 소품전》(중앙공보관, 1966), 《36인의 포트레이트》(공간사랑 갤러리, 1981) 등 다수의 개인전을 개최했으며, 한국여성단체협의회가 주최한《세계여성의 해 기념 사진전》(중앙공보관, 1975) 등의 단체전에 참가했다.

 

박영숙, 연극인 박정자, 1981, 젤라틴 실버 프린트, 34x47.5cm, 서울시립미술관 소장


송영숙 (1948년생)
송영숙은 숙명여자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사진디자인을 전공했다. 사진동아리 숙미회 회원으로 활동했으며, 우석대학교 사진부에서 활동하던 친오빠 송성호와 함께 《남매전》(새한사진싸롱, 1969)을 개최한 바 있다. 첫 개인전 《폴라로이드 SX-70》(대한전선 전시관, 1980)을 시작으로, 다수의 개인전을 개최했으며, 1981년에는 폴라로이드 작업을 수록한 첫 사진집 『송영숙 사진집: 폴라로이드 SX-70』(도서출판 시각)을 출판했다.


송영숙, 무제, 1981, 딥틱, 폴라로이드, 21x45cm,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소장


이은주 (1945년생)
이은주는 성균관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하고, 뉴욕 스쿨 오브 비주얼 아트와(SVA)와 보스턴 뉴잉글랜드 사진학교에서 수학했다. 국립무용단의 역동적인 군무를 촬영한 사진 <환희>로 《제30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1981)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대상 수상자에게 부상으로 주어지는 사진 세계 여행을 계기로, 하와이의 모습을 여러 차례 사진에 담았다. 1982년에 첫 개인전 《Image of Hawaii》(서울미국문화원)를 시작으로, 일본, 프랑스, 미국 등에서 개인전을 연이어 개최했다. 이후 동방플라자 미술관, 파인힐갤러리 등에서 개인전을 개최했으며, 1982년에는 동아일보사가 선정한 ‘올해의 예술가 2인’에 들었다.
 

이은주, 《Image of Hawaii》 연작, 1982, 젤라틴 실버 프린트, 22.4x33.9cm, 서울특별시 박물관과 소장


임향자 (1951년생)
임향자는 서라벌예술대학(현 중앙대학교)에서 사진을 전공한 뒤, 일본 니혼대학교에서 사진학 학사와 규슈산업대학교 대학원에서 사진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1982년 일본 도쿄 신주쿠 니콘살롱에서 초대전으로 열린 《孤影》을 시작으로, 《어느 예술가의 초상》(덕수미술관)과 《COSMOS》(동덕미술관) 등의 개인전을 연이어 개최했다. 이후 사진 전문 공간인 타임스페이스를 개관했으며, 이곳에서 안셀 아담스와 후지 히데키 등 해외 작가를 소개하는 기획전을 열며 국내외 사진 문화 교류에 힘썼다.

 

임향자, 《COSMOS》 연작, 1983, 젤라틴 실버 프린트, 26.2x35.5cm, 작가 소장


정영자 (1951년생)
정영자는 상명여자사범대학(현 상명대학교)에서 국어교육을 전공했다. 졸업 후 교사 생활을 하다 사진가 이정강을 만나 사사하며 사진계에 입문했다. 가족과 함께 미국으로 이민을 떠나면서 샌프란시스코 소재 샤봇컬리지(Chabot College)에서 사진학을 전공했다. 지도 교수인 아서 올맨(Arthur Allman)의 야경 사진전을 본 후 컬러 사진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으며, 식물 시리즈(Plant Series)의 계기가 되었다. 1980년에 첫 개인전으로 《귀국 사진전》(예총화랑)을 개최했다. 이후 1990년대에 샌프란시스코의 Artgur Owen Memorial Stone 갤러리 및 서울 예총화랑 등에서 여러 개인전을 가지며 그의 1980년대 주요 작업들을 소개했다.

 
 
정영자, 《Plant》 연작, 1980년대, 시바크롬 프린트, 49.5x34.5cm, 작가 소장 (좌)
정영자, 《Plant》 연작, 1980년대, 시바크롬 프린트, 49.5x34.5cm, 작가 소장 (우)


홍미선 (1960년생)
홍미선은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를 졸업하고,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사진디자인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미국 로체스터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RIT) 대학원에서 사진학 석사를 졸업했다. 대학 재학 중에 가정대학 사진반 회원으로 사진 활동을 시작했으며, 가정대학 사진반 졸업생과 재학생의 모임인 가영회 회원으로도 활동했다. 첫 개인전 《하늘과 땅 그 사이에》를 뉴욕의 RIT 사진 갤러리와 서울의 미국 공보원 전시실에서 1990년과 1991년에 연이어 개최했다. 귀국 이후 국내에서 작가이자 큐레이터로서 활약했다.

 

홍미선, Gift, 1988/2021, 포토 콜라주-일렉트로그래피(디지털 프린트 복제), 11x17inch, 작가 소장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G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