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추천전시 다채로운 전시 작가 작품! 아트 플랫폼 서울갤러리

 

박소영 《이명》

《buzzing》

  • 작가

    박소영

  • 장소

    아트스페이스3

  • 주소

    서울 종로구 효자로7길 23 (통의동) 지하1층

  • 기간

    2022-02-17 ~ 2022-03-12

  • 시간

    9:00 ~ 18:00

  • 연락처

    02-730-5322

  • 홈페이지

    http://artspace3.com

  • 초대일시

  • 관람료

갤러리 가기
■ 전시서문

가장 따뜻한 색, 블루
박소영 개인전 < buzzing >

김지혜 (아트스페이스3)
 

“어느 날 귀에서 이명 소리를 들었다.” 작가 노트는 이렇게 시작된다. 작가가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며 쌓인 괴로움은 이명이라는 현상, 실재한 경험으로 드러난다. 급작스러운 전 세계적 전염병의 장기화로 인한 제한적 일상이 만들어 낸 스트레스는 우울감으로 서서히 우리 주변에 자리 잡았고, ‘코로나 블루’라는 신조어를 만들어 냈다. 박소영 작가는 상징적인 푸른색을 통해 지난 2년 동안의 초현실적 상황 속에서 일으켜진 감정들을 입체 형태로 선보인다.
 
푸른색으로 물들여진 작품들은 작가가 이전부터 이어온 덩어리와 껍질 작업의 변주로 보인다. 규정 불가한 모호한 형태, 우연적인 형태(이영욱)나 어떤 ‘상태’로서의 형태(장승연)의 덩어리들은 작가가 말하는 “길들여지지 않은 형태”에서 기인한다. 이러한 형태들은 엉성하게 그려지는 우리들의 감정과 닮아있다. 길들여지지 않는 감정은 그것을 표현할 수 있는 언어의 부재로 인식조차 불가능한 상태로 남는다. 모호함을 제시하는 형태들은 이러한 인식 불가능한 우리 내면의 감정을 건드린다. 말해지지 못하는 것들이 설명되지 않는 그대로 표현되는 조형적 지점에서 우리는 정서적 감응을 이루게 된다.
 
작가는 침하하는 우울을 끌어올려 놓는 것에서 멈추지 않고 자신이 선택한 재료를 통해 투명하거나 반짝이거나 부드럽거나 섬세한 질감과 디테일을 부여한다. 작품의 표면은 얇은 플라스틱 필름, 스팽글, 패브릭 레이스로 촘촘히 채워진다. 오랜 시간 작게 오려낸 재료를 손에 들고 하나하나 붙여나가는 과정을 작가는 자신 내면의 감정을 꺼내는 과정이라고 말한다. 무겁고 깊은 혹은 투명하고 부유하는 정서 속에서 우리는 무엇을 볼 것인가. 괴테는 저서 <색채론>에서 “청색은 언제나 어두운 것을 내포하고 있다. ××× 이 색에서 우리는 자극이자 휴식이라는 그 어떤 모순적인 것을 본다.”라고 적었다. 이번 전시에서 청색은 초록이나 보라색이 섞이기도 하고, 그 농도가 깊어져 검은색이 되기도 한다. 작가는 부정적 감정을 조급하게 지워내려 하지 않는다. 그녀는 그것들을 끌어안고 그 상태 그대로 빛나고자 하는 모습으로 우리에게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그동안 작품에서 보여지는 박소영 작가의 태도는 ‘핍진하다’ 혹은 ‘솔직하다’고 언급되었다. 나는 이것이 진심을 다하는 태도에서 비롯한다고 여긴다. 지난한 노동의 과정은 그녀가 작품에 마음을 다하는 과정이다. 진심은 전염병처럼 퍼지고 강력하게 전달된다. 청색으로 물들어 있는 전시장에서 우리는 가장 따듯한 색을 보게 된다.



■ 작가노트

‘buzzing’ 윙윙
 

어느 날 귀에서 이명소리를 들었다.
두 귀에서 들린 소리는 견딜 수 없는 소음으로 처음 들어보는 세상의 또 다른 소리였다.
 
우리 모두 지금 혼란의 시간을 보내고 있으며, 문득 문득 세상이 마치 초현실적으로 느껴질 때가 있다.
이 현실과의 괴리감은 내 귀에만 소란스럽게 세상의 윙윙대는 소리를 감당하고 있는 건지도 모른다.
빛의 굴절률이 큰 색인 푸른색은 바다, 하늘, 새벽 등 자연을 떠올릴 수도 있고, 우울, 서러움, 그리움 같은 감정을 떠올릴 수도 있다.
하늘색과 바다색이 푸른색으로 보이는 것은 빛의 산란현상 때문이라고 한다.
내가 보는 푸른색이 서럽게 우울한 것은 어쩌면 허상을 보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작가가 만든 작품들은 작품이 만들어진 그때의 시간들 속에 자신의 정신적 심리상태를 투영한 자화상이라 할 수 있는데, 수많은 작가들이 예술을 통해 소통과 치유를 이야기하지만, 작가가 작업을 하면서 혼란했던 또는 우울했던 마음들이 작가자신은 물론, 작업을 대하는 감상자들에게 조금이라도 전달되기를 바란다.
 
모두의 일상에서 예술이 주는 심리적 안정과 위안을 찾을 수 있기를 바란다.
오늘도 우울 가득한 푸른색이여도, 절망스러운 검은색이여도 반짝 반짝 빛나는 사람이 되려 버텨본다.
 




■ 전시 비평

무거운 우울 속에서 가볍게 상승하는 것들
 
이은주 (독립기획자, 미술사가)
(영문 : Eunju Lee)
 

필자가 박소영의 작업을 심리적으로 가깝게 느끼게 된 것은 2019년 11월 에이라운지(A-Lounge)에서 열린 그의 지난 개인전 《뿔(BBULL)》을 통해서였다. 이 전시는 그간 필자가 산발적으로 이해해왔던 작가의 여러 작업들을 하나로 엮어주며 그 근간을 통찰하는 계기가 되었다. 당시 전시 제목의 의미를 묻는 필자의 질문에 대해 박소영은 곧바로 “화가 나서”라고 단순명쾌하게 답했었다. 그 말이 어쩐지 속 시원하게 느껴지면서 작업에 대한 새로운 흥미가 생겼다. 전시된 작품들의 치밀한 완성도에 의한 미감도 주목할 만했지만, 무엇보다 전시장 전체가 일상에서 느낀 작가의 심리상태를 예술작품으로 전치시킨 하나의 방 혹은 집처럼 느껴졌던 것이 기억에 남는다. 작은 비즈를 하나하나 정교하게 채워 만든 글씨 “뿔나다”와 “불끈 불끈”들은 작업의 원천들을 지시하면서, 전시 작품들이 매일매일 쌓아올린 작업의 시간을 통해서 정교하게 응집된 감정의 전이체들임을 느끼게 했다.

팬데믹 형국의 지루한 과정을 거쳐 열린 아트스페이스3에서의 이번 개인전에서, 박소영의 작업 동력이 된 것은 그가 최근 느끼고 있는 우울감이다. 지난 개인전에서 감정에 대응하는 색으로 붉은색을 활용했던 박소영은 이번 전시에서는 우울한 감정의 표현을 위해 푸른색을 채택했다. 전시장에 들어서면 옅고 창백한 푸른색에서부터 심리적 하강의 깊이를 느끼게 하는 짙은 푸른색, 극적이고 화려한 광택의 푸른색, 사금파리 같은 반짝임을 안겨주는 푸른색에 이르기까지, 서로 다른 톤과 질감의 푸른색들이 다양한 작품들을 관통하며 하나의 극의 여러 장을 이루듯 펼쳐진다. 드로잉 속의 “서러워”라는 글씨는 이 푸른색들을 탄생시킨 감정을 있는 그대로 지시하며 해석의 실마리를 제공하는 한편, 이 전시를 크고 작은 우울의 감정들을 조율하고 배치하여 만든 한 편의 시처럼 느끼게도 만든다.

박소영의 작업에서 색채들은 감정을 표현하는 핵심적 역할을 하지만, 덩어리진 형태들과 만남으로써 역동적 실체감을 부여받는다는 점이 무엇보다 중요해 보인다. 본디 무형의 것인 감정들을 만질 수 있는 덩어리로 물질화함으로써 구체적인 현실의 자리를 부여하는 것이다. 그의 작업에서 덩어리진 형태는 마치 몸을 구성하는 내장 혹은 유기적 생명체처럼 감정 역시 생동하는 실체임을 전달하며, 그것이 상정하는 무게감을 통해 삶 속에 분명하게 차지하는 자리를 주지시킨다. 이번 전시 제목의 단서가 된 작품 <이명(buzzing)>(2021)은 박소영이 실제로 경험한 심각한 이명과 그로 인한 우울감을 조형화한 것이다. 덩어리 위에 미디움과 본드를 섞어서 만들어진 단단한 피막은 내장처럼 연약하고 유기적이며 흘러내릴 듯한 성질을 고체화함으로써, 덩어리진 물적 실체로서의 구체성을 한층 더 강화시켰다. 이 파란 우울 덩어리는 그 무게를 힘겹게 지탱하듯 긴장감 있게 늘여진 양손으로 인해 더욱 무거워 보이며, 위태롭게 서 있는 모습 때문에 작가가 느꼈을 신경증적 상황을 더욱 예민하게 전달한다. 이처럼 박소영은 무형의 감정 상태를 형태화함으로써, 통제하기 어려운 상황들을 대상화하여 바라볼 수 있을 객관적 거리를 획득할 수 있었을 것이다.

감정 상태의 형태화라 할 수 있는 덩어리에 대한 박소영의 관심은 오랫동안 지속되어 왔다. 전시 제목부터 《덩어리》였던 2006년 프로젝트 사루비아다방의 개인전에서는 다양한 감정의 상태들에 대응되는 갖가지 모양의 덩어리들이 작가가 스스로 감당해야 할 감정의 무게들을 상징하듯 짐과 같은 손잡이가 달린 채 전시되었다. 2010년 보안여관의 개인전에서 이 감정의 덩어리들은 사람을 연상시키는 형태가 되어 작가의 자화상을 상징하기도 했다. 이번 전시에서도 보안여관에서 전시되었던 <돌아버리겠네(going nuts)>가 푸른색 캔디도장을 입은 새로운 버전으로 등장했다. 이 작품에서 박소영은 살아있는 한 끊임없이 생겨날 수밖에 없는 감정들을 대상화하여, 실제로 끝없이 빙빙 도는 모터의 장착, 의도적으로 축소된 크기, 직설적인 제목을 통해 그 무게를 가볍게 희화화해 버렸다. 버거운 감정들이 자신을 무겁게 짓누를 수 없는 유머가 될 수 있게 가볍게 전도시키는 이러한 효과야말로 박소영의 작업이 갖는 묘미라 할 수 있다.

이번 전시에서 중앙에 설치되어 전시의 중심축이 된 < Holding up >(2022)에서, 공중에 매달린 코발트블루의 덩어리는 바닥으로 이어지며 치마처럼 넓게 펼쳐지는 구도로 인해 마치 허공에 맺힌 거대한 눈물방울처럼 보인다. 그것은 중력의 작용으로 곧 떨어질 듯한 무게감을 느끼게 하는 동시에, 그 무게를 견디며 균형과 긴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상태를 상정한다. 주목할 점은 덩어리의 외피에 수공으로 일일이 오려낸 꽃잎 모양의 패턴들이 빈틈없이 균질한 간격으로 부착되었다는 것이다. 매일의 일상을 반복하듯 하나하나 붙여나가며 증식된 이 껍질로 인해서, 거대한 우울의 덩어리는 중력의 영향에서 벗어나 정교하게 감싸진 응결체로서 영구히 지탱되고 있는 듯 느껴진다. 박소영의 작업에서 반복되는 세공의 과정은 덩어리를 통해 객관적 대상으로서의 거리가 부여된 감정들을 장식해나감으로써 정제해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통제하기 어려운 내면의 소용돌이에서 감정의 덩어리를 건져 올리고 그 외피를 치밀하게 구축해감으로써 감정 상태를 하나의 미적 상태로서 전도시킬 거리를 확보하는 것이다. 집요하리만치 밀도 높은 이 일상적 노동의 과정이야말로 감정의 무게를 감당하고 그것을 정제해나감으로써 삶을 지탱하기 위한 박소영만의 의식이라 할 수 있다. 그것은 정신적 작업인 동시에 인공적인(artificial) 노동의 기술을 통해 지리멸렬하고 범속한 일상을 ‘예술(art)’로 만드는 과정이다.

이러한 노동의 결과 박소영의 작품에서는 흥미롭게도 상승과 하강의 느낌이 동시에 나타난다. 예컨대 < Holding up >에서 덩어리의 외피에 완벽한 질서로 부착된 꽃잎 패턴 안에서 반짝이는 비즈는 감정의 덩어리에 보석 같은 결정체의 인상, 흡사 별처럼 빛나는 상승의 경쾌함을 안겨주면서 흘러내릴 듯한 무게를 제법 견딜만한 것으로 만들어냈다, <반짝이는 블루(twingkling blue)>(2020-2021) 연작에서 감정 덩어리들은 무게를 느끼게 하는 동시에 그로부터 탈출하여 날아가듯 가벼운 움직임을 얻었다. 그것은 마치 반려생물처럼 일상을 함께 하도록 길들여졌으나, 여전히 완전하게 통제하기는 어려운 짓궂은 역동성을 담지한 것처럼 보인다. <어떤 별(a star)>(2021)에서는 비극의 여주인공을 연상시키는 검은 눈물의 처연한 흘러내림이 별을 향한 상승의 힘에 의해서 일련의 위트 있는 균형을 갖추었다.

이즈음에서 한 번 더 생각해보아야 할 것은 박소영의 작품에서의 덩어리와 껍질의 관계이다. 무게감을 전하는 여타의 작품들과 달리, 잠자리 날개처럼 반투명한 필름으로 만들어진 <진혼곡(requiem)>(2021)은 덩어리가 빠져나간 뒤에 남겨진 껍질 혹은 고치처럼 보인다. 또 다른 차원으로 자유롭게 떠난 존재를 지시하는 이 더할 나위 없는 가벼운 허물은 예술작업을 통해 박소영이 추구하는 궁극의 자유를 지시하는 기표일 것이다. 그러나 박소영의 작업은 이처럼 고치를 벗고 가벼워질 수 있는 상승이 무거운 덩어리를 반드시 전제한다고 얘기해준다. 덩어리가 있기에 껍질이 있고, 우울의 무게가 있기에 상승의 경쾌함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비극과 희극 간의 역학이야말로 박소영의 작업이 우리에게 주는 위로이다. 박소영은 필자와의 인터뷰에서 작업을 통해 “우울하고 힘든 감정 속에서 반짝이는 것을 건져내고자 한다”고 언급했다. 결국 그에게 있어서 예술작업이란 삶을 누르는 감정의 무게에 시적 긴장을 부여하여 일련의 반짝임을 얻는 과정일 것이다. 그러고 보니 <이명>에서 커다란 우울 덩어리를 지탱하는 두 손이 흡사 눈물을 닦아주는 치유의 손처럼 보이기도 한다. 
 



■ 작가약력

박소영 (b.1961)
 
독일 슈투트가르트 국립 조형미술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인하대학교 졸업
현재 : 인하대학교 예술체육대학 조형예술학과 교수
 
주요 개인전
 
2022 buzzing, 아트스페이스 3, 서울
2019 뿔, A-Lounge, 서울
2018 푸르스름하여 Bluish, 스페이스 깨, 서울
2017 Re-Call 소환(召還)하다, 신세계 갤러리, 인천
2016 Cassiopeia 카시오페아, 갤러리3, 서울
2015 하얀달, 푸른별 The White Moon, the Blue Star, 분도갤러리, 대구
2013 무심해지는법 Unconcerned Manner, Space BM, 서울
2010 Going Nuts 돌아버리겠네, 통의동 보안여관, 서울
2007 반복하다 Over and Over,  ‘오늘의 작가’ 김종영 미술관, 서울
2006 덩어리, Project Space 사루비아다방, 서울
외 11회
 
주요 그룹전
 
2021 털 날리는 계절 Shedding Season, 박소영x이의성 2인전, 쇼앤텔, 서울
        가두어 머무러, Space 119, Space 453, 인천
2020 오감도: 한국미술의 다섯 풍경 – 아부다비 마나랏 알 사이얏 VR 전시
        예술과 삶, KSBDA 국제특별전,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서울
2019 겹쳐진 선 Layered Lines 부평아트센터 갤러리 꽃누리, 부평
        멘토 + 멘티, 환원미술관, 서울
2018 잃어버린 세계 The Lost World,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서울
  
      서해평화예술프로젝트 〈모든평화〉, 교동초등학교강당, 강화 교동도
2017 세제곱미터 창립전, 선광미술관, 인천
 
       풍경의 경계 2017, 성북동작은갤러리, 서울
2016  창원조각 비엔날레 2016 "억조창생", 성산 아트홀, 창원
         Home-집, 신세계갤러리, 인천
2015  김종영과 그의 빛, 김종영 미술관, 서울
         선으로부터, 갤러리 3, 서울
2014  두 썸싱, 함평군립미술관, 함평
  
       A-FA 장애인 창작 아트 페어, 문화역 서울284, 서울
2013  동질이형同質異形 2인전, Nook gallery, 서울
         Incheon Sculptor’s Association 인천 아트 플렛폼, 인천
2012  순간의 꽃, OCI 미술관, 서울
          'High Times, Hard Times' 인터알리아 아트컴퍼니, 서울
2011 산수정경山水情景, 스페이스 몸 미술관, 청주
   
      쉼, 경기도미술관, 안산
2010 현대미술의 선물, 전북도립미술관, 전주
   
      이형 異形 스페이스 공명, 서울
2009 연금의 手, Interalia Art Company, 서울
   
      치유: 극적인회복 Miraculous Recovery, 박소영+박소영, 리나갤러리, 서울
2008 ‘삼각주’2008 대구텍스타일아트 도큐멘타,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오늘의 한국조각2008 ‘조각의 허물 혹은 껍질’모란미술관
2007 Anyang Public Art Project 2007, 안양
  
       It takes Two to Tango, 금호미술관, 서울
2006 Light-Environment Art Exhibition 2006, 심양 기반산 공원 특별 전시장, 중국
  
      항해일지 The Logbook, 영은미술관, 광주
         외 다수  
 
아티스트 레지던시 프로그램
 
2000/2002  경안창작스튜디오, 영은 미술관, 광주
2004/2005  창동미술창작스튜디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작품소장
 
서울 시립미술관, 서울 / 미술은행, 인천문화재단/ 안양 공공예술 프로젝트, 안양공공예술재단
미술은행, 국립현대미술관 / 아트선재미술관, 서울
 
출판
 

2012 한국현대미술선, 박소영, 헥사곤 출판사, ISBN 978-89-966429-9-2


■ 작품 이미지




1-1. 이명 buzzing 2021 bronze, fabric, aluminum net, mix medium 240×115×75cm



2. 진혼곡 requiem 2021 clear film 220×90×28㎝



3-1. 나 지금 갇힌 거니 caged in 2022 horn, object, iron 58×230×94㎝



3-2.나 지금 갇힌 거니 caged in 2022 horn, object, iron 58×230×94㎝-부분



4-1. 반짝이는 블루 twinkling blue 2021 polyester, spangle 35×34×5㎝



5-1. holding up 2022 lace fabric, aluminum net, steel, variable dimensions



6. 서러워 sad 2018 clearfilm on paper 56.5×76.5cm



7. 집-손 home-hands 2021 stainless steel, polyester 26×136×45㎝



8. scorpion 2021 lace fabric, spangle, polyester 94×50×6㎝



9. 그 별 the star 2021 lace fabric, aluminum net 32×30×26㎝



10. 푸른 별 the blue star 2015 stainless steel  52×120×153㎝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G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