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추천전시 다채로운 전시 작가 작품! 아트 플랫폼 서울갤러리

 

두산 큐레이터 워크샵 기획전 《#2》

DOOSAN Curator Workshop Exhibition #2

  • 관람료

    무료관람

갤러리 가기
두산갤러리는 2023년 7월 26일(수)부터 8월 30일(수)까지 신진 기획자 양성 프로그램인 ‘두산 큐레이터 워크샵’ 기획 전시 《#2》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두산 큐레이터 워크샵의 12회 참가자 이미지, 이민아, 이민주의 공동 기획 전시다.

두산 큐레이터 워크샵 기획전 《#2》는 희곡이 그려내는 시공간 속에서 함께 읽기를 시작하여, 전시라는 사건이 촉발하는 극적인 순간을 포착한다. 현실의 사건을 가리키는 동시에 허구적 공간을 상상하는 배해률의 희곡은 이 전시를 구축하는 공동의 씨앗이자 사유의 지지체가 된다. 곽소진, 리에 나카지마, 이경민, 정철규는 이러한 텍스트의 열린 구조에 응답하며 하나의 장면을 단서 삼아 각자가 주목한 시간의 파편들을 건져 올린다. 이들의 작업은 저마다의 언어와 속도로 다른 시간대를 경유하며 전시장의 풍경을 끊임없이 변화시킨다.

희곡은 공동 창작의 과정에 따라 타자를 통해 발화되고 상연됨을 전제로 한다. 한 시점에서 다양한 시간과 공간을 가로지르는 유기적인 이미지를 산출하는 이야기 형식인 것이다. 《#2》는 극의 문법을 빌어, 보이는 장소로서 존재하는 전시가 어떤 바라봄의 행위를 추동하는지 질문한다. 전시는 관객으로 하여금 텍스트에서 출발한 일련의 이미지를 마주하며, 읽지 않은 텍스트를 복기해 보길 요청한다. 또한 ‘바라봄’의 행위를 수행하는 전시장의 몸이 작품의 신체와 어떤 방식으로 운동하며 서로를 또 하나의 장면으로 연루시키는지 실험한다.

극작가 배해률의 희곡 「염소구제작업」(2023)은 안개 무리 속에 흐릿하게 보이는 한 섬의 윤곽을 비추며 시작된다. 이야기는 섬에서 염소구제작업을 하던 중 일어난 낙상 사고를 기점으로, 고립되거나 흩어진 섬 안팎의 사람들과 살생 혹은 구제의 대상이 되는 염소의 관계, 그리고 한 인물의 죽음 앞에 놓인 무기력, 죄책감을 하나의 실타래로 엮는다. 그 중 두 번째 장면은 아직 이 모든 전말을 알기 전, 배들이 출렁거리는 항구에서 염소구제작업 채비에 한창인 들레와 영신의 대화로 전개된다.

리에 나카지마는 두 번째 장면에서 닿지 못하는 섬을 상상하며, 숲과 육지의 존재들에게 귀 기울인다. 작가는 섬과 텅 빈 전시 공간에 대한 청각적 상상력을 통해 사물을 수집하고, 이를 재료 삼아 연쇄적으로 연주되는 작은 소리 조각들을 만들었다. 규칙적인 시차를 두고 작동하는 작가의 조각들은, 서로의 청각 기호에 응답할 뿐만 아니라 관객과 이웃한 작업의 잔향음, 전시장 내외부의 소음이 모두 연결된 소리 세계를 구축한다.

전시장을 가로지르는 이경민의 구조물은 누군가에게는 이미 닫혀버린, 지나간 시공간이자 또 다른 이에게는 이제 막 새로이 열리는 통로가 된다. 작가는 섬 내부에서 행해진 구제작업으로 자신의 터를 떠나거나 특정 대상을 좇을 수밖에 없던 인물들의 입장을 아우르며, 섬의 이면과 그곳에 서린 갈등을 다룬다. 마치 여러 물줄기가 동결된 듯 유약하고 이질적인 재료가 혼합된 판 형식의 구조물은 자본과 도시 계획으로 인해 변모한 지역에서 방황하는 우리의 모습을 은유한다.

곽소진은 사람들에게 쫓기는 염소와 죽음의 원인을 좇는 인물의 관계로부터 묘한 순환의 고리를 발견한다. 쌍둥이를 피사체로 삼은 카메라가 하나의 뿌리에서 출발한 두 신체를 따라가면서 도망치는 인물과 추적하는 인물의 움직임을 겹쳐 놓는다. 점점 포개어지는 걸음은 도망과 추적이라는 서사적 연결고리를 끊어낸다. 작가는 원인과 결과, 삶과 죽음의 선형적인 시간으로부터 다시 돌아오는 장면을 붙잡고, 반복되는 생에서 인물이 서사를 새롭게 구성하는 방식을 모색한다.

정철규는 바느질, 자수 놓기, 선 긋기와 같은 수행적 방식을 작품의 주된 방법론으로 취한다. 그의 작업은 가까이서 들여다보아야 실선의 흔적과 은은한 미감을 느낄 수 있다. 작가는 텍스트가 발화되기 전, 지면 위의 이름으로만 머무는 작 중 등장인물과 연소, 그들의 관계 그리기에 주목한다. 각 인물이 시차를 두고, 서로를 비추며 닮아가는 관계도와 시간의 흐름을 전시장 안팎으로 등을 맞댄 천 위에 얇은 선으로 수놓는다.

전시가 하나의 ‘사건’이 될 수 있을까? 하나의 장면으로부터 사건을 상상하며 구현된 4인의 이미지는 텍스트가 담은 사건을 재현하는가, 혹은 또 다른 사건을 발생시키는가? 《#2》는 발췌된 풍경을 통해 희곡이 갖는 특정한 사건의 서사를 분절시키며 보는 이로 하여금 완성된 이야기로부터 벗어나기를 유도한다. 이를 통해 우리가 이미지에 서사를 부여하는 방식과 ‘전시’라는 특수한 시공간에서 어떤 사건이 발생할 수 있는지 질문한다.

* ‘두산 큐레이터 워크샵’은 한국 현대미술계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신진 큐레이터를 발굴,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매년 3명의 큐레이터를 선정하여 1년 동안 각 분야의 전문가들을 초청, 강의∙세미나∙워크샵으로 현대미술의 이론과 현장을 깊이 있게 다룬다. 1년의 교육기간 후, 두산갤러리에서 3명이 공동으로 전시를 기획해 봄으로써 1년간의 연구를 구체화할 수 있는 실질적인 큐레이팅 기회를 갖게 한다.



곽소진
<다시 돌아와, 다시>, 2023, 싱글채널 비디오, FHD, 컬러, 사운드, 10분
relieve, 2023, Single Channel Video, FHD, color, sound, 10min




리에 나카지마
<알루미늄 자전거>, 2023, 모터, 알루미늄, 철사, 타이머, 가변크기 (좌)
Aluminum Cycle, 2023, Motor, aluminum, wire, timer, Dimensions variable (left)

<두 개의 정사각형 철물>, 2023, 모터, 철물, 스톤와이어, 타이머, 가변크기 (우)
Falling Snail, 2023, Motor, metal, stone wire, timer, Dimensions variable (right)




이경민
<물의 방위>, 2023, 비계 파이프, 목재, 아크릴, 스테인리스 판, 은박지, 석고텍스, 각 350 × 120 × 15cm, 3점
The Way of Water, 2023, Scaffolding pipe, wood, acrylic, stainless panel, aluminum foil, gypsumtex, 350 × 120 × 15cm each, 3 pieces




정철규
<아무도 답하지 않았어요. 2>, 2023, 옥스퍼드 원단 위에 색연필, 240 × 700cm, 설치 전경
No one Answered 2, 2023, Color pencil on oxford fabric, 240 × 700cm, Installation view

<지난밤도 지나가는 밤도>, 2023, 와이셔츠 원단 위에 손바느질 실드로잉, 65 × 50cm, 설치 전경
Last Night and Passing Night, 2023, Hans-sewn thread drawing on dress shirt fabric, 65 × 50cm, Installation view

 
 

Through DOOSAN Curator Workshop, a program that aims to train new curators, DOOSAN Gallery will host an exhibition named #2 from July 26th to August 30th, 2023. The exhibition is co-curated by Miji Lee, Minah Lee, Minjoo Lee, a group of participants to the 12th workshop.

 

DOOSAN Curator Workshop Exhibition #2 begins by undertaking a collective reading in the time and space depicted in a play and captures the dramatic moments triggered by an event so called an exhibition. Hae-youl Bae’s play, which simultaneously indicates an incident in reality and imagines a fictional space, is the communal text and thought-provoking element that constitutes the exhibition. Responding to this openness of text, Sojin Kwak, Rie Nakajima, Kyungmin Lee and Choulgue Jung perceive a specific scene as a clue to fetch the fragments of a time each of them focuses on. Their works pass through different zones of time in their own visual languages and velocities, constantly changing the landscape in the exhibition space.

 

A written play is meant, following a process of co-creation, to be spoken and performed by others. It is a form of storytelling that, from a certain perspective, produces organic images that traverse different times and spaces. Here the perspective contains the possibility of being plural. Theater originates from the Greek word Theatron, which means a place of seeing for the audience and the act of viewing, Theasthai. Borrowing the vocabulary of theater, #2 delves into the act of viewing that is generated by the exhibition as a place of seeing. The exhibition asks the viewers to encounter a series of images derived from the text and try to recollect the lines they haven’t read yet. It also experiments on how bodies in the space that perform the act of viewing resonate with the torsos of the works, engaging with one another, creating alternative scenes.

 

Can the exhibition be an event? Not as an event that evaporates after a flickering appearance but as a moment that captures the contradictions of existing hierarchies and orders. Do the images of the four artists, materialized by imagining the event from one scene, represent the incident depicted in the text or generate alternative events? By scooping up a scene, #2 dismantles the play’s narrative on a specific incident. Arrays of images presented as excerpts of play, encourage the viewers to detour the ending of the story, and to avoid perceiving them as results of representation. In other words, it suggests the viewers to imagine the temporalities of before and after, instead of probing the causes and intentions of the reality. #2 questions the ways we assign narratives to images, and attempts to grasp the event of knowledge occurred in the form of exhibition.

 

DOOSAN Curator Workshop is a program that discovers and supports young curators who will present new perspectives to Korean contemporary art. Three curators are selected every year and experts from each field are invited for a year to cover the theory and field of contemporary art in depth through lectures, seminars, and workshops. After the workshop, DOOSAN Gallery provides them an opportunity to embody a year of research by co-organizing an exhibition.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G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