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지난전시 다채로운 전시 작가 작품! 아트 플랫폼 서울갤러리

 

권세진 개인전 < Perpetual >

-

  • 작가

    권세진

  • 장소

    갤러리2

  • 주소

    서울 종로구 평창길 204 (평창동)

  • 기간

    2023-11-23 ~ 2023-12-23

  • 시간

    10:00 ~ 19:00 (휴관일 : 매주 일, 월요일 )

  • 연락처

    02-3448-2112

  • 홈페이지

    http://www.gallery2.co.kr/

  • 초대일시

  • 관람료

갤러리 가기
갤러리2에서는 권세진 개인전 < Perpetual >을 개최한다. 자신의 일상 속에서 발견한 인상적인 순간, 즉 한 개인의 기억과 감정의 발화점을 재현하던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좀 더 보편적인 이미지를 통해 관람자의 기억과 감정을 불러일으키고자 한다. 해외 중고 거래 사이트에서 발견한 탁상용 퍼페추얼 캘린더와 그 캘린더 속 날짜 부분을 확대해서 그린 이번 신작은 ʻ누군가’의 노스탤지어를 상상하게 한다. 총 29점의 신작을 선보이는 이번 전시는 12월 23일까지 진행된다.

권세진의 이번 전시명인 < Perpetual >은 작업의 소재인 퍼페추얼 캘린더(perpetual calendar)를 의미하기도 하지만 그가 오랫동안 탐구해 온 ʻ반복되는 시간과 일상’을 은유한다. 그동안 자신이 직접 찍은 풍경 사진을 화폭에 담았던 이유는 일상 속에서 발견한 인상적인 순간, 즉 한 개인의 기억과 감정의 발화점을 재현한 것이다. 하지만 그는 자신에게만 특별한 이미지가 아닌 좀 더 보편적인 이미지를 그리고 싶었다고 한다. 그것이 관람자에게 더 많은 공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번 작품은 이미지를 최소화 혹은 중성화하면서 기억과 감정을 발화시키는 데 초점을 맞췄다.

작가는 지인의 차에서 퍼페추얼 캘린더를 우연히 발견한다. 다이얼을 돌려 월과 요일을 설정하는 이 작은 탁상용 캘린더를 보고 그는 시간을 조작할 수 있다는 점이 흥미로웠다고 한다. 그리고 캘린더에 그려진 이국적인 풍경 역시 그의 눈길을 끌었다. 퍼페추얼 캘린더는 여러 형태가 있지만, 유독 작가의 관심을 끈 것은 월과 요일을 다이얼로 돌릴 수 있는 하단과 각 나라의 랜드마크와 날짜를 보여주는 원형 구조가 결합된 캘린더이다. 이것은 1960년대부터 80년대까지 서양에서 유행했던 여행기념품이었다. 오늘의 날짜를 표시하는 달력이면서 또한 과거의 시간을 회상하고 기억할 수 있는 기념물인 것이다. 여러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 이 사물을 보고 작가는 오랜만에 그려보고 싶은 소재를 찾은 것 같았다고 말한다.

재미있게도 권세진은 7개의 퍼페추얼 캘린더를 그렸지만, 그는 단 하나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림은 해외 중고거래 사이트에서 찾은 이미지를 보고 그렸다. 그 이미지에는 흠집과 같은 사용감이나 표면의 색바램 등 시간이 축적된 모습을 고스란히 담고 있었다. 무엇보다 평소 자신이 찍은 풍경 사진을 그림으로 옮겼던 작가에게 사물뿐만 아니라 물건의 소유자들이 직접 찍어서 올린 이미지 그 자체가 흥미로웠을 것이다. 오래전에 올린 게시물의 경우 사양이 낮은 핸드폰이나 카메라로 찍어서 사진의 화질이 낮기도 하고 촬영한 공간의 조명, 배경 공간, 사진의 색감 등 사진마다 특정한 시간과 공간이 함께 박제되어 있다. 여기에는 사물이 담고 있는 과거와 사진이 담고 있는 과거, 이 두 가지의 레이어가 덧씌워져 있다. 작가에게 이미지를 찾아내고 선별하는 과정은 마치 시간의 층이 겹겹이 쌓여있는 유물을 발굴하는 과정과 다름없다.

퍼페추얼 캘린더 연작은 작가의 개인적인 기억에서 벗어나 불특정 다수의 보편적인 과거를 소환하는 작업이었다. 그 사물에 대한 직접적인 추억이 없더라도 도식화된 랜드마크와 누구나 알아볼 수 있는 날짜와 요일은 ʻ누군가’의 노스탤지어를 상상하게 한다. 이 사물을 맨 처음 발견하고 간직했던 타자의 오랜 시간을 떠올리게 하는 것이다. 작업을 이어가던 권세진은 문득 캘린더 안의 숫자에 주목하게 된다. 퍼페추얼 캘린더의 형상을 빌리지 않더라도 숫자만으로 ʻ기억과 감정의 발화’를 불러일으킬 수 있지 않을까. 각자 자신에게 의미 있는 날짜가 있다. 하루하루 설레는 마음으로 기다리는 날짜도 있지만 반대로 외면하고 싶을 날짜도 있다. 단언컨대 우리는 모두 각자 나름의 기억과 연결된 날짜가 있다.

이렇게 시작된 것이 Today 연작이다. 작가는 종이 위에 숫자를 ʻ그렸다.’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숫자가 있는 풍경을 그렸다. 퍼페추얼 캘린더의 형태는 모두 생략하고 숫자가 보이는 부분만을 확대한 이 시리즈에서, 숫자는 마치 창문 너머의 풍경처럼 보인다. 숫자뿐만이 아니라 칸 안의 그림자, 외부의 빛에 의한 색감의 변화, 중앙에서 약간씩 빗겨나간 숫자의 위치를 모두 반영한 그림이다. 그는 네모난 공간 안에 숫자와 빛과 그림자가 있는 모습이 하나의 형식처럼 느껴졌다고 한다. 이 간결한 기호와 섬세한 빛의 변화는 그동안 작가가 고민했던 질문, ʻ구체적인 형상이 없이도 타인의기억과 감정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가. 과연 그것이 가능한가’에 대한 대답 혹은 어떤 실마리를 제공했다.

대상을 세밀하게 묘사하는 데 익숙한 권세진에게 텅 빈 공간과 숫자로만 구성된 그림은 그에게도 낯선 경험이었다. 대상을 구체적으로 묘사할 때는 붓질과 색이 철저하게 그 대상을 따른다. 재현을 위한 붓질이다. 그런데 Today 연작을 그릴 때는 오로지 균일한 붓질과 색채만으로 그림이 완성된다. 대상을 사실적으로 재현할 때는 미처 인식하지 못했던 각 색채만의 뉘앙스와 묘사로부터 해방된 붓질은 그에게 어떤 자유로움을 느끼게 했다. Today 연작 역시 실물을 재현하지만, 실제 대상의 평면성과 기호체계의 간결성으로 인해 그림은 구상적이지만 또한 추상적이다.

2미터 크기의 화면에 그려진 숫자와 넒은 색면은 명상적인 분위기를 자아낸다. 이것은 빛과 그림자가 만들어 낸 오묘한 색의 변화에서 기인하는 것일 수도 있고 기호의 압도적인 크기에서 기인하는 것일 수도 있다. 혹은 둘 다거나. 작가는 숫자가 시공간을 월경하는 통로가 되길 바란다. 누군가에겐 과거의 년도, 날짜, 시간을 상기시키는 통로가 될 것이며 누군가에겐 아직 도래하지 않은 미래로 가는 통로일 수도 있다. 권세진은 색채가 기억과 감정을 소환하는 힘이 있다고 믿는다. 그러니 숫자가 만든 통로의 문을 열어주는 것은 색채인 셈이다.



Today2, acrylic, graphite, and glue on p aper, 150x210cm, 2023



4월 APRIL, acrylic, graphite, and glue on paper, 210x150cm, 2023



9월 SEPTEMBER, acrylic, graphite, and glue on paper, 210x150cm, 2023



권세진 (b. 1988)

학력
2022 홍익대학교 동양화과 박사과정 수료
2016 경북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과 석사 졸업
2013 경북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과 학사 졸업

개인전
2023 Perpetual, 갤러리2, 서울
       Distance, 갤러리2 중선농원, 제주
       우묵한 깊이, Space298, 포항
2021 겹 풍경, 어울아트센터, 대구
        CMYK, 갤러리2, 서울
2019 1248, 갤러리2, 서울
2018 귀로, 021Gallery, 대구
2016 올해의 청년작가전 겹- 풍경,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2014 흐려진 풍경, 봉산문화회관, 대구

단체전
2023 모뉴멘탈, 뮤지엄헤드, 서울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 목포문화예술회관, 목포
2022 광주화루, 광주은행 본점, 광주
       합의형 수묵, 해움미술관, 수원
       스트롤, 시안미술관, 영천
       연속과 분절, 서울대미술관, 서울
       언박싱 프로젝트, 뉴스프링프로젝트, 서울
       추상과 풍경, 교보아트스페이스, 서울
2021 의도적 우연, 자하미술관, 서울
       단원미술제 선정작가전 이면의 공간, 단원미술관, 안산
       우리가 머무른 자리, 우민아트센터, 청주
       제 6회 신진작가 공모전, 포스코미술관, 서울
2020 시간동사모음, 성북예술창작터, 서울
       제11회 畵歌 감각기억, (재)한원미술관, 서울
       새로운 연대, 대구미술관, 대구
2018 여전히 무서운 아이들, 돈의문 박물관, 서울
       백(百)의 그림자, 성북예술가압장&가변크기, 서울
2017 바람을 거스르는 물고기, 산수문화, 서울
       주춤거리는 현실, 아트스페이스 휴, 파주
2016 새로운 세계와 리얼리즘 이응노, 해방공간~ 1950년대, 고암 이응노 생가기념관, 홍성
2015 오늘의 살롱, Common Center, 서울
       내가 부른 노래가 고래가 되고, 파도가 되어, 아카이브 봄, 서울
       오토세이브: 끝난 것처럼 보일 때, Common Center, 서울

레지던시
2020 창작공간 DAL 3기

수상 및 선정
2021 단원미술제 선정작가, 단원미술관, 안산
       서울문화재단 예술창작지원 시각예술, 서울
2020 제 4회 광주화루 우수상, 광주은행, 광주
2016 올해의 청년작가,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2015 소마드로잉센터 아카이브 10기, 소마미술관, 서울

작품소장
미술은행, 전남도립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서울대학교미술관,
대구미술관, 서울시, 정부미술은행, 대구문화예술회관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G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