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현재전시 다채로운 전시 작가 작품! 아트 플랫폼 서울갤러리

 

스나크 : 붙잡는 순간 사라지는 것들"

The Snark: Suddenly Vanishing Away

  • 관람료

    무료관람

갤러리 가기
“그리고, 침묵. 누구는 허공 속에서
“___ 줌!”이라는 종잡을 수 없는 한숨 소리를 들었다고 상상했지만,
다른 이들은 그것이 그저
지나가는 바람 소리였을 뿐이라고 단언한다.”

 

전시 《스나크: 붙잡는 순간 사라지는 것들》은 루이스 캐럴(Lewis Carroll, 1832-1898)의 ‘넌센스 문학’이라 불리는 여덟 편으로 구성된 서사시 『스나크 사냥: 여덟 편의 사투』(1876)에서 ‘스나크’ 의 존재를 반추하는 작업들을 선보인다. 서로 다른 직업의 인물들이 함께 항해하면서 실체가 불분명한 환상의 동물 스나크를 잡고자 하는 모험담은 스나크를 각자의 방식으로 품고 있는 불안과 두려움에 대한 대상으로 상상하면서 사냥하는 단편이다. 서사시에서 스나크는 허구 혹은 부재의 존재인 동시에 다수의 인물들이 표현하는 단어들로 의인화되고 불안에 대한 발화의 주체로 등장한다. 낯선 존재이자 유동적이고 가변적인 정체성, 부재한 정체성으로 묘사된 스나크는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대상으로 공통의 목표물인 반면, 내적인 욕망과 공허 안에서 만들어낸 또 하나의 불안에 대한 허구로 작동한다.

본 전시는 복수의 형태와 의미로 위치하는 스나크와 같은 존재와 상황을 분절된 서사시를 빌어 회화, 조각, 사진, 영상 등 각각의 매체를 다루는 다섯 명의 작가를 통해 각자가 마주하는 불안을 대처하는 방법을 모색한다. 참여작가 오종, 우정수, 전명은, 표민홍, 황수연은 서사시에 나타나는 필사적인 사투와 유희, 텍스트 이면에 내재된 상상의 의미를 더듬어 가면서 각자의 작업을 통해 시각적 환상성에 주목한다. 작가 다섯이 환상성을 다루는 것은 보이지 않는 것(un-seen)을 보이는 것으로 만드는 것과 말해질 수 없는 것(un-said)을 표현하는 것과 같아, 대상이 구체적으로 발화되기 전의 언어들이 잠재적인 상태로 존재하는 텍스트의 형식을 빌어 작품 안에 내재된 각자의 언어를 끌어내는데 있다.

잠재적인 작가의 언어들이 담화를 만들기 위해 서로 자신의 상상력을 정당화하는 논리는 기존 의미 논리를 벗어난 허튼 논리가 되기도 한다. 이러한 모순은 불안이 의미하는 것과 넌센스의 구분으로 언어를 바라보는 시선, 언어를 통해 이미지를 구축하는 시선, 불안이라는 대상에 대한 인식의 틀과 관계된다. 작가 다섯의 작품이 놓인 공간은 보이지 않는 불안과 두려움이 가시적이고 감각적으로 지각될 수 있도록 제시됨으로써 현실과 분리될 수 없는 현실의 이면에 대해 이야기한다. 나아가, 다섯의 언어는 의인화되고 발화의 주체로 등장하는 스나크를 고스란히 재현하는 역할에 국한하지 않고, 언어 자신 안에 있는 감각적 영역들을 확장해 각각의 작업들 사이에 관계가 역전되는 등 대상의 유동적이고 가변적인, 부재한 정체성을 대척점에 두어 줄다리기를 하는 것과 같다.



오종 Jong Oh, Folding Drawing #29, Wood panel, paint, metal rod, 18.5 x 7.6 x 6cm, 2020
 

오종은 서사시에서 등장하는 빈 지도(empty map)의 형식과 개념을 작업의 출발점으로 삼는다. 시에서 사각형 모양을 갖춘 지도는 사각형 가장자리에 무작위의 장소들에 대한 기호만 명시되어 있어 장소를 찾아 나서기 위해 연속적인 시간으로 측정하기 어려운 추상 언어와 같다. 완벽히 부재하는 공간을 척도로 삼는 지도의 생김새는 찾고자 하는 대상을 발견해 나간다는 것을 은유하면서, 동시에 탐험을 나서는 이들에게 하나의 통로이기도 하다. 대상을 향한 두려움의 태도와 실체를 찾아나서는 역할로서 (2020)은 모서리에서부터 축이 되어 뻗어 나간다. 비어있는 곳을 바라보기보다 바깥 혹은 내부에 있는 곳일지도 모르는 공간을 구축해가는 그는 갈등과 불안의 물리적인 장소이자 개념적인 구조체들을 공간 곳곳에서 예민하게 그려나간다

 

우정수 Jeongsu Woo
The Snark I, Acrylic and ink on canvas, 141.5 x 108cm, 2020 (left)
The Snark lll, Acrylic and ink on canvas, 228 x 82cm, 2020 (right)
Classic Pattern with Tarzan (In The Snark), Wallpaper, Dimensions Variable, 2020 (wall) © Jeongsu Woo



우정수의 <스나크(The Snark)>(2020) 연작은 패브릭 조각들을 여러 단편들로 구성된 서사시의 익살스러운 상황을 참조하여 캔버스 화면 밖의 탐구를 ‘극’으로 접근하려는 태도를 취한다. 이러한 태도는 긴 시간 고군분투했던 사적인 고충을분출해조각난에피소드를해학적으로풀어내는연출된회화적풍경에가깝다.한시대의장식과위선을보여주는 클래식 패턴과 도상은 단편적으로 이야기의 구조에 대한 연계성이 부재함으로써, 도상-패턴-붓질이 주고받는 대화에 단절과 틈이 되려 감각적 효과를 만들어낸다. 과거에 사용한 소재들을 캔버스 위에 복기하는 행위는 흑백의 월페이퍼 형식으로 재해석하거나 캔버스 위에 새로 붓질한 후에 여러 형태로 오려서 콜라주함으로써, 문학 속 ‘넌센스’가 생성해내는다양한감각의충돌과상충,갈등과긴장이연계되어작가의낯선정체성을연출한다.




전명은 Eun Chun
Beklemmt #1, Archival pigment print, 96 x 120cm, 2020 © Eun Chun
Beklemmt #6, Archival pigment print, 40 x 50cm, 2020 © Eun Chun



전명은의 <배클램트(Beklemmt)>(2020)는 베토벤의 현악에서 카바티나(cavatina)의 중반부 악절에 남긴 지시어 ‘배클램트’의 음악적 방향성과 성격의 완전한 고독감에 대해 기록한다. ‘답답하게, 압박하며, 숨이 막힐 듯’이 감정에 지지 않고 길게 끌고 가는 배클램트의 지시어는 음악이 닿는 마지막 곳이 사람의 마음이라는 태도에 기인한다. 피사체에 담긴 오랜 시간 수집한 낡은 골동품들은 이름 없는 곳에서부터 전개되었던 누군가의 흔적과 여러 차원을 이동한 사적인 역사의 뿌리를 관찰하고 기록된다. 전명은의 애정하는 사물 본연에서 포착한 촉각적인 감각과 힘의 방향은 작가 자신으로 돌아와 부여잡고 있는 작은 서사의 조각들을 찾아가는 가장 외로운 시간일 것이다.




표민홍 Minhong Pyo
day for night , 4K 2channel video, Stereo, Colour, 13’50”, 2020 © Minhong Pyo
nothing it was about you, 2020, Acrylic varnish on window, Dimensions Variable



표민홍은 자전적인 사건과 감정의 기억들을 회상하면서 불안의 요소를 끄집어 관찰자가 된다. 논-내러티브 영상 <낮밤(day for night)>(2020)은 일곱 살 소년의 불안과 자전거 도둑의 존재에 대한 부재와 시간의 변화를 세 개의 챕터로 기록한다. 새 자전거를 훔쳐간 도둑의 얼굴을 모른 채, 도둑의 모습에 대한 소문만 무성했던 날들을 기다리면서 어느 날 다시 제자리로 돌아온 자전거에 대한 소년의 기억은 불안과 부재, 그리고 기다림에 대한 시간의 방향과 연속성에 대해 섬세하게 그린다. 이와 더불어, 텍스트 작업은 불안의 근원과 마주하지 못했던 혹은 마주하지 않았던 내면의 감각들에 대한 기록을 문학의 ‘혼성 텍스트(portmanteau text)’ 형식을 따라 분절된 언어들로 문장을 만들고, 투명하고 연약한 재료를 이용해 아슬아슬하게 공간을 파고든다. 모서리의 귀퉁이와 창문 등 쉬이 지나칠 수 있는 곳에 있는 작가의 ‘말’들은 잡힐 듯 말 듯 견고함과 무관하게 소리없이 녹을 것처럼 그곳에 있다.



황수연 Sueyon Hwang, Three, Print, 53 x 125 x 108cm, 2020


황수연의 종이 조각은 상상하는 형태의 완벽한 접합과 연속되는 관계에 기인하여 만들고자 하는 형태와 움직이는 모양이 갈등하면서 생기는 지점들을 다양한 모습으로 변이한다. 작가는 생태계에서 종(種)의 지위를 나타내는 용어 ‘니치(niche)’에 주목하면서, 종들의 공동체 속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살아가는 관념과 감각에서 형태들을 상상해낸다. 종이 도면들을 이용해 질서를 찾고 새로운 형태가 만들어지는 과정은 종이접기와 펼치기를 오가며 완성된 작업을 재료로 재활용하고, 표면 위에 에어브러쉬를 분사하는 등 다른 종으로 탄생한다. < P.or >(2020), <줄무늬, 긴(Stipes, long)>(2020)과 <3(Three)>(2020)은 기존 작업을 다른 정체성을 지닌 존재로 전환하고, 숫자에 대한 연속되는 관계를 통해 관념적인 형태의 예민함을 보여준다. 이들은 머리 부분을 지탱해주는 낮게 놓인 감각의 종이 지지체를 아슬아슬한 지점에 둠으로써 고양되었던 공포의 생김새를 유희적으로 풀어낸다.






《스나크: 붙잡는 순간 사라지는 것들》에서 다섯 명이 주고 받는 예민한 몸짓은 각자가 마주하는 불안과 공포의 존재를 그리면서 공간 간의 거리와 시간의 간격 사이에 삶에 공통된 감각을 발견해내는데 있다. 대부분의 가장 보통의 존재들이 침범 당하지 않는 영역은 각자의 내면이라는 점에서 잡히지 않는 무형의 존재를 구가하는 것이라 상정했을 때, 이는 역설적으로 고정된 정체성에서 벗어나 자아와 씨름해야 하는 일종에 인간의 숙명을 받아들이는 희극과 비극 그 중간 어디쯤에 있지 않을까? 나와 타인 사이에 닿을 수 없는 관계의 단절로 동반되는 불안은 자신 안에 있는 수많은 자아들을
찾기 위한 것에 기인하며, 자신의 정체성을 고정시키는 대신 그 사이에 발견되는 틈을 비집고 보기 위해 의도적으로 이 존재들에게 문을 두드리며 관찰하는 것과 같다. 그렇게 붙잡고자 하는 불안이라는 존재는 잡힌 듯한 순간 홀연히 사라지며 또 다시 우리 앞에 나타난다.
글. 추성아
 


오종

학력
2011 School of Visual Arts, 순수미술과 대학원 졸업
2008 홍익대학교, 조소과 졸업

개인전
2019 Sunstone, Sabrina Amrani Gallery, 마드리드, 스페인
       Light and Rock, Marc Straus Gallery / Richard Koh Fine Art, 싱가포르
       Jong Oh, Lora Reynolds Gallery, 오스틴, 미국
2018 주고받는 모서리,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
       Jong Oh, Marc Straus Gallery, 뉴욕, 미국
       Windward, Jochen Hempel Gallery, 베를린, 독일
       Lodestar, Sabrina Amrani Gallery, 마드리드, 스페인
2017 Half Hitch, Ideobox Artspace, 마이애미, 미국
2016 Jong Oh, Marc Straus Gallery, 뉴욕, 미국
       Sotto Voce, Contemporary Art Galleries, University of Connecticut, 커네티컷, 미국
2015 Lodestone, Galerie Jochen Hempel, 라이프치히, 독일
       AIR, Krinzinger Projekte, 비엔나, 오스트리아
2014 Lodestone, MARSO Foundation, 멕시코시티, 멕시코
2013 Tintinnabulation, Marc Straus Gallery, 뉴욕, 미국
       Jong Oh, Galerie Jochen Hempel, 베를린, 독일
2012 Jong Oh, Marc Straus Gallery, 뉴욕, 미국
       Position, Reposition, Art in General, 뉴욕, 미국

최근 그룹전
2020 송은미술대상전, 송은아트스페이스, 서울, 한국
       토끼 방향 오브젝트, 덕수궁, 서울, 한국
       서러운 빛, P21, 서울, 한국
       연필과 고양이, 유머감각, 서울, 한국
       Ver Versus Ver, Sabrina Amrani Gallery, 마드리드, 스페인
       Walking Through The Fields Of History, Jochen Hempel Gallery, 라이프치히, 독일
2019 기하학 단순함 너머, 뮤지엄 산, 원주, 한국
        Negative Space, ZKM Center for Art and Media, 카를스루에, 독일
        Linha Atemporal, Dan Gallery, 상파울루, 브라질
        How We Live, Hudson Valley MOCA, 뉴욕, 미국
        우리 시대의 추상 II, 챕터투, 서울, 한국
2018 Point Counter Point, 아트선재센터, 서울, 한국
       Sculpting With Air, DeCordova Museum, 매사추세츠, 미국
       Everyday Is A Good Day, Spiral, 도쿄, 일본
       Spiele Mit Der Ewigkeit, Grimmuseum, 베를린, 독일
       Depot, Jochen Hempel Gallery, 라이프치히, 독일
2017 Between I & Thou, Hudson Valley MOCA, 뉴욕, 미국
       The White Heat, Marc Straus Gallery, 뉴욕, 미국
       You Are A Space, nook Gallery, 서울, 한국
2016 The Global South: Visions and Revisions, Saludarte Foundation, 마이애미, 미국
       Dialogue, MARSO Foundation, 멕시코시티, 멕시코
       The Apotheosis Of The Fish Market, Marc Straus Annex, 뉴욕, 미국

레지던시
2019 CCA 레지던시, CCA Andratx, 마요르카, 스페인
       El Nucleo 레지던시, SZ Foundation, 세고비아, 스페인
2016 MARSO 레지던시, MARSO Foundation, 멕시코시티, 멕시코
2014 Krinzinger 레지던시, Krinzinger Projekte, 비엔나, 오스트리아
2012 LMCC 레지던시, Lower Manhattan Cultural Council, 뉴욕, 미국


우정수

학력
2015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조형예술과 전문사 졸업
2010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조형예술과 예술사 졸업

개인전
2020 Where Is My Voice, 두산갤러리, 서울
       Tit for Tat, 두산갤러리 뉴욕, 뉴욕, 미국
       Calm the Storm, 금호미술관, 서울
2018 패턴즈, 온그라운드2, 서울
2017 산책자 노트, 갤러리 룩스, 서울
2016 책의 무덤, OCI 미술관, 서울
2015 불한당의 그림들, 프로젝트 스페이스 사루비아다방, 서울

최근 그룹전
2020 순순히 어두운 밤을 받아들이지 마오, 챕터투, 서울
       사랑의 기술, 토탈미술관, 서울
       RE-SEARCH, 샘미술관, 서울
       BGA 오프라인 쇼케이스 Physical, 팩토리2, 서울
       퍼스펙티브, 미메시스 아트 뮤지엄, 파주
2019 강박,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관, 서울
       칸 퍼레이드, 우정국, 서울
       현대 회화의 모험: 나는 나대로 혼자서 간다, 국립현대미술관, 청주
       16번의 태양과 69개의 눈, 금호미술관, 서울
       별별동행, OCI 미술관 순회전, 군산/ 광양/ 포항
       파라노이드 파크, 코엑스, 서울
       사막, 요정, 샘, 서교예술실험센터, 서울
2018 광주비엔날레: 상상된 경계들,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광주
       모티브, 학고재, 서울
       미메시스 에이피 : 리얼리티 쇼, 미메시스 아트 뮤지엄, 파주
       솔로쇼, 해담하우스, 서울
       Fragile, 챕터투, 서울
       서울문화재단 유망예술지원사업 쇼케이스전, 우정국, 서울
2017 두산아트랩, 두산갤러리, 서울
       자구책, 아트폴리곤, 광주
       역사의 천사에 대하여, 아마도예술공간, 서울
       드로잉이 아니다, 유아트스페이스, 서울
       이야기 없는 이야기, 갤러리 룩스, 서울
2016 Narration, 스페이스 비엠, 서울

수상
2019 화랑미술제 특별전 대상, 한국화랑협회
2017 금호영아티스트, 금호미술관
       SEMA Emerging Artist, 서울시립미술관
2015 OCI YOUNG CREATIVES, OCI미술관
2014 메르세데스 벤츠 코리아 아티스트, 메르세데스 벤츠 코리아

레지던시
2020 두산레지던시 뉴욕, 뉴욕, 미국
2017 MMCA 국립현대미술관 고양창작스튜디오, 고양


전명은

학력
2009 파리8대학 사진과 석사 졸업, 생드니, 프랑스
2002 중앙대학교 조소과 학사 졸업, 안성

개인전
2020 글라이더, 갤러리2, 서울
2019 플로어, 서울시립미술관 SeMA창고, 서울
2018 방안을 새까맣게 하니 눈이 내리기 시작한다, BMW 포토스페이스, 부산
2017 안내인, 아마도예술공간, 서울
2014 그 사진은 어디로 갔을까?, 캔파운데이션 오래된 집, 서울
       사진은 학자의 망막, 유스퀘어문화관 금호갤러리, 광주
2013 금성망막면통과, 플레이스막, 서울
2010 나는 본다, 파리시립 샵탈도서관, 파리, 프랑스

최근 그룹전
2020 사랑의 기술, 토탈미술관, 서울
       버츄얼아트페어 아부다비 아트, www.abudhabiart.ae/Galleries/PIBI-Gallery
       흰 밤 검은 낮, 경기도미술관, 안산
       기담 ; 가늘게 굽은 이야기 - 당신을 위한 거리, 인천 서구 장고개로 일대, 인천
       BGA 오프라인 쇼케이스 : 피지컬, 팩토리2, 서울
       생각의 뒷모습, 휘슬, 서울
       모두의 소장품,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몸짓을 따라가며 주변을 배회하고 중심에 다가서려는, 학고재청담, 서울
2019 머무르지 않는 사람의 노래, 교보아트스페이스, 서울
       인터미션, 스페이스캔, 서울
       The Senses ; 과잉과 결핍 사이에서 호흡하다, 토탈미술관, 서울
       리브 포에버, 하이트컬렉션, 서울
       낯선 시간의 산책자, 뮤지엄산, 원주
       우리 시대의 추상 II, 챕터투, 서울
       바다는 가라앉지 않는다, 안산문화예술의전당, 안산 / 보안여관, 서울
       픽 유어 픽, 디스위켄드룸 + 서울로미디어캔버스, 서울
       현대미술이란 무엇인가?, 대구예술발전소, 대구
2018 송은미술대상전, 송은아트스페이스, 서울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OCI미술관, 서울
       경기천년 도큐페스타 : 경기아카이브 지금, 경기상상캠퍼스, 수원
       메타 픽스, 유아트스페이스, 서울
       스틸 데어, 시대여관, 서울
       하늘 땅 사람들,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우리는 별들로 이루어져 있다, 두산갤러리, 서울
2017 부토그라피, 파비옹 포퓰레르, 몽플리에, 프랑스
       더스크랩, 삼육빌딩, 서울
       이것은 예술이 아니다, 더폴락, 대구
       사랑한다 사랑하지 않는다, 하이트컬렉션, 서울
       하부양생, 성북문화재단 미인도, 서울
       인트로, 고양레지던시, 고양시
2016 사월의 동행, 경기도미술관, 안산
       마블링+사진, 베르나르당아틀리에갤러리, 물랑 엉질베르, 프랑스

수상/선정
2019 SeMA 신진미술인 전시지원 프로그램, 서울시립미술관
2018 송은미술대상 우수상, 송은문화재단, 서울
2017 아마도사진상, 아마도예술공간, 서울
       부토그라피 경쟁부문, 몽플리에, 프랑스
2016 경기문화재단 북부문화사업단 문화예술지원사업
2015 생생화화 : 경기문화재단 전문예술창작발표지원사업
2014 서울문화재단 예술창작지원사업

레지던시
2020 서울시립미술관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 14기
2017 국립현대미술관 고양레지던시 13기
2015 서울시창작공간 성북예술창작센터 5기
2014 서울시창작공간 성북예술창작센터 4기


표민홍

학력
2016 영국 옥스포드 대학교, 러스킨 스쿨 오브 아트, 순수미술 석사 졸업
2015 영국 런던 대학교, 골드스미스, 순수미술 학부 졸업
2007 서울예술대학 사진과 졸업

개인전
2018 please please please 휘슬, 서울
2008 SECOND SPACE 세줄 갤러리, 서울

그룹전
2020 생각의 뒷모습, 휘슬, 서울
2018 관객행동요령, 여의도 벙커,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16 LATENT SURFACES, curated by Like A Little Disaster, 바리, 이탈리아

스크리닝
2020 prelude No.4, TINC (구)명성교회, 서울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G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