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미술계소식 다채로운 전시 작가 작품! 아트 플랫폼 서울갤러리

 

처음 빛 보는 나혜석의 ‘염노장’
  • 작성일2023/04/25 16:16
  • 조회 109

수원시립미술관 ‘물은 별을 담는다’

미술관 소장 여성주의 작품 소개
나혜석·백남순 마주보도록 배치
‘어떤 Norm’ 기획전도 눈길 끌어

 

나혜석, 염노장(1930년대 추정), 캔버스에 유채, 73×60.5㎝ 수원시립미술관 제공

▲  나혜석, 염노장(1930년대 추정), 캔버스에 유채, 73×60.5㎝
수원시립미술관 제공


괴나리봇짐에 지팡이까지 짚고 있는 노파의 얼굴에는 수심이 가득하다. 무슨 고민을 하는 것일까.

한국 최초의 여성 서양화가이자 여권 운동가였던 나혜석(1896~1948)이 1930년대에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작품 ‘염노장’이다. 지금으로서는 당연한 말이지만 당시에는 상식을 뛰어넘는 수준의 발언들 때문에 그림이 불태워지고 가족, 친지로부터 외면당하는 등 사회적 비난에 서서히 병들어 가던 나혜석은 해방 직후 행려병자로 숨을 거뒀다. ‘염노장’을 보고 있노라면 나혜석이 자신의 말년을 그린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문득 스쳐 지나간다.

백남순,  한 알의 밀알(1983), 캔버스에 유채, 91×91㎝ 수원시립미술관 제공

▲ 백남순, 한 알의 밀알(1983), 캔버스에 유채, 91×91㎝
수원시립미술관 제공


경기 수원시립미술관은 지난 18일부터 나혜석의 작품을 비롯해 미술관 소장 작품 46점을 엄선해 상설전 ‘물은 별을 담는다’를 시작했다. 물이 시작되는 곳이라는 뜻의 지명 ‘수원’(水原)에서 별처럼 빛나는 예술작품을 만나라는 의미를 담았다.

나혜석의 ‘염노장’ 원본은 이번 전시에서 처음 공개됐다. 나혜석을 시작으로 미술관이 소장한 여성주의 작품만을 모아 놓은 ‘성, 별을 넘어서’라는 주제의 전시장을 따로 꾸몄다. 여기에는 나혜석이 1928년에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자화상’과 그의 뒤를 이은 수원 출신 여성 미술가 백남순(1904~1994)의 ‘한 알의 밀알’(1983)이 마주 보도록 배치한 ‘나혜석과 백남순의 방’이 마련돼 있다.

‘물언덕을 비추며’라는 전시장에서는 과거 수원의 풍경을 그린 작품을 통해 추억 속 수원과 수원 미술계를 한눈에 볼 수 있다. 오용길 작가의 수묵담채화 ‘행궁과 팔달산(서장대) 풍경’은 수원의 옛 모습을 기억하는 이들에게 추억을 선사할 것이다. 전시는 2024년 2월 18일까지.

오용길, 행궁과 팔달산(서장대) 풍경(2014), 화선지에 수묵담채, 240×200㎝ 수원시립미술관 제공

▲ 오용길, 행궁과 팔달산(서장대) 풍경(2014), 화선지에 수묵담채, 240×200㎝
수원시립미술관 제공


한편 미술관은 상설전과 함께 가족을 주제로 한 현대미술 기획전 ‘어떤 Norm(all)’을 시작했다. 제목에서 볼 수 있듯 정상적이라는 영어 단어 ‘노멀’과 모두를 뜻하는 ‘올’을 합성해 사회가 규정한 정상성을 벗어난 어떤 형태의 가족이라도 차별의 대상이 돼서는 안 된다는 것을 예술작품으로 강조한다. 회화, 사진, 설치, 영상, 게임, 다큐멘터리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 56점을 통해 가족에 대해 고찰할 시간을 건넨다.

톨스토이의 소설 ‘안나 카레니나’ 첫머리는 “행복한 가정은 모두 비슷하지만 불행한 가정은 저마다 다른 이유를 갖고 있다”로 시작된다. 웹아티스트그룹 장영혜중공업은 이 문장을 뒤집어 ‘불행한 가정은 모두 엇비슷하다’라는 제목의 영상 작품을 내놨다. 가정마다 불행의 원인이 비슷하고 정상 가족 이면의 불화와 가정 내 폭력 같은 문제를 노골적으로 드러내 사회가 규정하는 정상 가족도 결코 정상적이지만은 않다고 강조한다. 이 전시는 오는 8월 20일까지 열린다.



유용하 기자
Go Top